• 발언자
  • 안 건
  • 의장 이재명
  • 안전정책과장 은민호
  • 이강선 의원
  • 임정열 의원
  • 장동현 의원
  • 건축디자인과장 윤혜순
  • 김기복 의원
  • 윤대영 의원
  • 상하수도사업소장 최영훈
  • 김성우 의원
  • 보건행정과장 김순희
  • 건강증진과장 강은주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안전정책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01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신규사업에 567페이지 진천군 안전보건지킴이 운영 있습니다. 보셨죠, 과장님. 567페이지?

임정열 의원 우리 산업재해 증가에 따라서 최근 3년간 관내 산업재해 사망자 11명으로 되어 있어요. 그런 취지에서 이 사업이 신규로 되는 것 같은데, 이게 민간전문가 4명을 위촉하게 되어 있잖아요. 그 4명은 산업안전 관련 자격증 소지자 그건 대충 알겠는데 이거는 안전보건공단에서 추천을 받는 건지, 아니면 산업안전보건 심의위원회에 기구를 두게 되어 있잖아요, 조례에?

임정열 의원 그럼 산업안전보건 심의위원회에서 4명을 위촉하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그거를 누가 결정하는 거예요, 그 결정은?

임정열 의원 그런데 우리 조례에 산업안전보건 심의위원회가 구성·운영이 되고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저는 그걸 보고, 보통은 타 지자체에 보면 안전보건공단 거기에서 공고를 해서 채용을 하는 걸로 지금 알고 있거든요. 그리고 이게 주요 업무가 어떤 업무예요?

임정열 의원 여기 우리 군 발주 공사장 42개소로 되어 있잖아요. 그러면 여기 우리가 「중대재해처벌법」에 보면 5인 이상 50인 미만이 여기 해당이 되는데, 그러면 우리 군에서 발주하는 공사장에만 이 전문가들이 활동하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그러면 여기에서 안전전문가가 만약에 그 현장에서 법규 위반이라든지 그런 사항 신고를 할 의무도 있는 거죠?

임정열 의원 거기에서 만약에 신고가 됐을 때는 여기에서 조치를 별도로 취하는 거고?

임정열 의원 이게 우리가 1월부터 12월까지잖아요?

임정열 의원 42개소를 이 네 분이 다 커버가 되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아무튼 이게 진천군 어떤 지침에 의해서 사업이 잘, 공사가 마무리됐을 때 안전 수칙 같은 것을 지켜서 안전보건 우수기업으로 우리 진천군에서 인증하는 저기가 11조에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러면 그 사람들이 어떤 인증이 됐을 때 우리 진천군에서 주어지는 혜택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당연히 해야 되는 거죠.

임정열 의원 우수기업으로 만약에 선정이 됐을 때 우리 11조에 보면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 보증에서 “진천군은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으로 인증하고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잖아요. 우수 기업에 대해서?

임정열 의원 어떻게 보면 사기진작도 되고, 어떤 우수기업에 대한 인증이 되면 사업자에 대한 자부심도 있고. 그런 거를 우리 과장님께서 사업 현장에서 이런 부분들을 갖다가 꼼꼼하게 챙겨서 안전하게, 우리가 발주한 공사가 차질 없이 진행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나. 건축디자인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29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 590페이지 보시면요, 빈집 정비 지원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이 있어요. 590페이지, 빈집 정비 지원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 찾으셨나요?

이게 지금 우리가 빈집 철거 사업이 200만 원씩 지원되는 거잖아요. 1년 이상 거주하지 않은 것. 그런데 이게 16개소예요?

임정열 의원 저기가 된 건가요, 확정이? 선정이?

임정열 의원 그리고 빈집 보수 3개소에 되어 있는데 지난해 보다 예산이 4,000만 원 정도 줄은 것 같아요.

임정열 의원 예산이 삭감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이게? 아니면 수요가 지금 없어서 그런 건지. 아니면?

임정열 의원 이거 지금 빈집보수 해서 1년 이상 임대도 가능한 사업이잖아요, 이 사업이. 여기 지금 3개소는, 선정된 주택에 대해서는 임대하는 쪽으로 지금 이게 저기 되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아직 선정은 안 되어 있는 거지요?

임정열 의원 아무튼 진천 관내에 빈집 정비 필요한 주택들이 많이 있잖아요, 경관을 해치고 하는 그런 것들이. 그래서 이거를 빨리 군에서든지 아니면 소유주, 건축주하고 어떤 협의를 통해서 조속히 철거가 될 수 있어서 그 지역 생활하는 주민들이 어떤 경관에 대한 혐오라든지 안전에 위험도 있잖아요. 그래서 그런 사업에 대해서는 좀 더 확대를 해서 해결될 수 있게끔 노력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그리고 한 가지 추가 질문해 드리면, 597페이지 보시면 동료 의원님께서 질의를 하신 부분인데요, 지역특성살리기(로컬브랜딩) 공모사업 있잖아요. 이게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사업이잖아요. 그런데 이 사업이 1단계가 있고 2단계가 있어요. 그럼 여기 우리가 공모하고자 하는 사업은 어떤 1단계 사업인가요, 아니면 2단계 사업인가요?

임정열 의원 그게 2단계로 지금 구분이 되어 있더라고요. 지난해 보니까 24년도에는 충주시가 지금 저기가 됐어요, 선정이. 그래서 이게 수도권을 배제한 지방에서 이 사업이 5개 지자체나 10개 지자체가 선정이 되는데, 이것 지금 만약에 우리 지역 특색에 맞는 발굴을 했을 때 지역주민들한테 펼쳐지는, 체감할 수 있는 그런 주요 혜택이 있다 그러면 어떤 혜택이 있는 거예요?

임정열 의원 공모, 응모를 6월 달에 해서 발표가, 공모 발표는 12월 달에 되는 거예요?

임정열 의원 그 신청으로 하는 거 아니에요, 신청을.

임정열 의원 하여튼 이 사업이 공모가 돼서 선정이 될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라. 보건행정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1시27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641페이지에 보시면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지원 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희귀질환 지원대상이 총 1,272개 질환이 돼 있잖아요. 대상 있잖아요, 희귀질환?

임정열 의원 대상이 1,272개로 돼 있잖아요. 1,272개가 희귀질환 1,248개하고 중증난치질환 24개가 돼서 1,272개거든요. 2025년 달라지는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에서 당초에 1,272개가 1,338개로 66개가 추가됐어요.

임정열 의원 그거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그리고 거기 지원되는, 부담하는 것도 환자 가구 소득기준이 일괄 완화가 됐는데 성인이 120%, 소아가 130∼140%로 해서 이 부분도 좀 바뀐 거고. 2025년 1월부터 바뀐 거예요, 이 제도가. 이걸 좀 참고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마. 건강증진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1시37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668페이지 보시면요, 인지재활 프로그램 운영(기억지킴이)있어요, 과장님? 668페이지, 기억지킴이. 이거 대상이 치매 고위험군 경도인지장애자로 되어 있는데, 75세 이상 고령노인하고 65세 이상 독거노인인데 지금 대상자가 몇 명 정도가 되어 있는 거지요?

임정열 의원 네?

임정열 의원 86명. 기간은 몇 주 정도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거예요?

임정열 의원 그럼 여기에 대상자 86명 중에서 우선 대상자는 어떤 기준을 둡니까?

임정열 의원 그러면 케어를 하시는 분, 대상자가 86명이라고 했잖아요. 그러면 이 86명을 단체에서 어떻게 하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그럼 이게 86명이 정해진 거는 예산에 맞춰서 그런 건가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이거는 이 사업 자체가 치매환자 조기 발견 발굴도 될 수 있고, 여기 원거리 불편 등으로 해서 치매안심센터의 이용이 어려운 대상자에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그 사업으로 기대되는 사업인데, 이 사업 같은 걸 확대를 해서 소외되는 대상자가 여기 대상이 됨에도 불구하고 예산 범위 때문에 대상자가 안돼서 누락이 되는, 아마 분명히 그런 대상자도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이런 소외되는 대상자가 없이, 치매가 어떻게 보면 사회적 문제 엄청 크게 심각한 문제잖아요. 그런 치매에 대한 우려가 가족들에게 덜할 수 있게끔 이것 좀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데 이런 거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