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의장 이재명
  • 기획감사실장 주선희
  • 이강선 의원
  • 장동현 의원
  • 홍보미디어실장 박영자
  • 임정열 의원
  • 김기복 의원
  • 윤대영 의원
  • 행정지원과장 남은숙
  • 인구정책과장 배경석
  • 성한경 의원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나. 홍보미디어실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15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설명 잘 들었고요. 주요업무계획 57페이지를 보겠습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진천군 SNS 서포터즈 운영과 관련해서 몇 가지 궁금한 사항을 질문드려 보겠습니다. 홍보미디어실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우리 진천군을 널리 알리는 그런 홍보에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군민과 함께하는 진천군 SNS 서포터즈 운영이 우리 진천군을 가장 잘,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좋은 제도라고 보고 있는데. 한 예를 들어 보면 우리가 지난, 농다리에 출렁다리가 있잖아요. 지난해에 한 170만 명의 방문객이 왔다고 하는데 거기에 기여한 게 거기 방문한 사람들이 SNS를 통해서 우리 출렁다리를 계속적으로 전파하는 그런 것도 어떤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 진천군 SNS 서포터즈단이 8기로 됐었잖아요. 지난 24년도에 모집한 걸로 알고 있는데 지금 모집 구성 SNS 홍보 서포터즈가 몇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이게 지금 활동기간은 25년 1월부터 12월이잖아요?

임정열 의원 여기에서 예산이 만약 중간에 10월이 됐든 11월이 됐든 예산이 중간에 소진이 될 수가 있잖아요. 그럴 때는 우리가 1월부터 12월까지를 활동기간으로 보고 있는데, 만약에 중간에 한 10월경이라든지 11월경에 예산이 소진돼서 이 사업이 중단이 될 수 있는 상황도 있잖아요. 그래서 우리 서포터즈 20명에 관련해서 예상된 사업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그런데 지금 과장님 설명 들어 보면 지난해에 15명이었다가 올해 20명으로 5명 더 증원이 됐잖아요. 그런데 예산은 또 줄었어요, 반대로. 이렇게 되면 우리가 사실 여기 20명으로 돼 있는, 그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이 사람들의 어떤 만족도가 있어야지 더 적극적으로 우리 진천군을 홍보하는 데 그런 의욕도 있을 것이고 그렇게 판단이 돼서, 이거를 제가 볼 때는 과장님이 말씀하신 대로 추경이라고 해도 만약에 이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홍보에 참여할 수 있게끔 만들어서 본래의 목적대로 가야 된다고 저는 생각을 하거든요. 그 부분은 좀 참고를 해 주시고요. 그리고 만약에 혹시 20명이 어떤 과제라는 게 있을까요? 월 우리가 SNS 영상을 제작을 해서 우리 군에 제출하는 그런 것들이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제가 한 가지 더 제안을 드린다고 하면 20명의 활동 우수 홍보단원들 있잖아요. 이분들의 다양한, 1년을 기준으로 해서 진짜 우리 진천군 홍보에 더 적극적이었고 우수한 홍보단을 선정해서 인센티브라든지 그런 제공이 필요해서 사기진작도 되고 어떤 동기부여가 되잖아요. 이거에 대한 계획은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아무튼 우리 진천군 SNS 서포터즈 운영을 통해서 우리 군 정책을 군민과 전국에 빠르게 정확하게 전할 수 있도록, 양질의 정보 제공을 통해서 홍보가 돼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다. 행정지원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43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주요업무계획 94페이지 보시면 기부자와 함께하는 탄탄한 고향사랑기부제 운영 관련해서 기부자 대상으로 해서 다각적인 예우 관련해서 잠깐 질문드리겠습니다.

진천군은 2023년도, 2024년도 모금액이 충북도내에서 압도적인 1위를 했습니다. 여기에는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다양한 이벤트와 지정기부 프로그램, 더 나아가서 행정과 직원분들의 적극적인 노력의 어떤 결과라고 생각을 하면서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지금 우리 지정기부 제도가 시행이 됐잖아요.

임정열 의원 고향사랑기부제에 어느 정도 그 사업을 미리 선정을 해서 기부자들에게 이러한 사업에 대해서 기부를 할 수 있는, 넓게 해석을 해서. 그런데 지금 두 가지가 되어 있었잖아요. 지정기부가 출산 육아용품을 지급하는 ‘덧셈의 삶’, 그리고 낙상 예방 안전손잡이 설치 프로젝트. 그 두 가지 사업이 지금 돼서 많은 기부자들이 참여를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 사업내용 관련해서 설명 좀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그런데 지금 출산정책 육아용품 그 기금 목표액이 1억이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리고 낙상 손잡이는 3,000만 원으로 알고 있는데 이건 지금 다 마감이 종료가 됐습니까?

임정열 의원 그리고 지금 우리 기금 한도액이 5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확대가 됐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래서 지금 사실은 이런 기부자들에 대한 관리를, 예우 관리에 대해서 철저하게 해야 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 기부자들이 1년, 2년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2회 이상 하시는 분들이 있잖아요, 꾸준히.

임정열 의원 그래서 1년 차나 2년 차, 3년 차, 4년 차에 기부를 계속 이어가시는 기부자들한테 우리 진천군에서 관리, 어떤 특별한 혜택 제공하는 게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타 지자체의 한 가지 비교를, 예를 들어보면 제주 같은 경우 1년 차에 대해서는 기부자 본인에 대해서만 혜택을 주고 있고, 2년 차가 되면 기부자 본인 플러스 동반자 1인, 그리고 3년 차가 되면 기부자 본인은 당연하고 2인을 하고, 4년 차 이상이 될 때는 3인까지, 이거는 가족과 관계없이 기부자가 선정하는 동반자에 대해서 이런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도 우리 군에서 기부 금액도 늘었고 했으니까 이런 관리도 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이거에 대한 관심도 가져 주시기 바라고요.

회의 서류에는 없지만 한 가지 진천군 발전에 관련해서 제안을 한번 드려 보려고 합니다. 우리 진천군 사실 7개 읍면이 어떻게 보면 진천읍, 덕산읍, 광혜원 해서 그 중심적으로 발전이 되고. 사실 초평이라든지 백곡, 문백 그런 쪽에는 발전이 정체가 되고 어떻게 보면 저해가 되는 그런 상황이 되어 있어서 저는 진천군에 명예읍면장 제도를 한번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우리가 재경면민회가 있고 읍면회가 지금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잖아요. 그래서 이런 부분을 어떤 지역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도 있고. 명예읍면장을 1년 정도로 기간을 둬서 무보수, 명예직이잖아요. 위촉을 해서 만약 그런 제도가 도입이 된다고 한다면 그 지역에 대한 관심이라든지 지역주민들하고 어떤 소통이라든가 그런 게, 지금 제가 말했지만 재경면민회를 어떤 형식적인 그쪽으로 해서 우리가 활용할 게 아니라 좀 더 우리 진천군 발전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적극적으로 한번 이런 걸 반영을 해서 재경면민회라든지 그런 추천을 받든지, 아니면 각 읍면별 이장님들의 자기 출향인사 중에, 지역 출향인사 중에 적임자를 찾아서 한번 그 사람들을 명예읍면장으로 선정을 해서 그 사람들하고 우리 군정에 대한 소통도 하고. 또 그분들은 올라가서 명예읍면장은 각 서울 같은 데 지역에 올라가서 자기들이 진천군에 대한 행정이라든지 여러 가지 정책들을 홍보도 할 수 있는, 진천군을 발전시킬 수 있는 어떤 대안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여기에 대한 과장님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의원 아마 경산시가 지금 현재 운영을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런 보고를 한번 과장님께서 살펴보셔서 진천군에 도입할 수 있는 그런 제도인지를 한번 살펴봐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