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농업정책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및 행정사무감사

(10시01분)

성한경 위원 성한경 위원입니다.

업무보고 2페이지에 보시면 진천 농업의 밝은 미래, 청년·후계농업인 육성 사업이 있습니다. 제가 회기에 앞서서 자료를 받아서 분석을 해 봤어요. 그랬더니 21, 22, 23년 3개년에 걸쳐서 봤더니 우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더라고요. 그런데 우리는 도농 복합도시인데, 우리 진천은. 21년의 경우에는 82명이 귀농을 하셨고, 22년에는 56명이 하셨고, 23년에는 46명이 했는데 인원이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뭐가 더 문제냐 하면 21년의 경우에는 30∼40대 청년층이 33명이었어요. 그런데 22년, 23년 갈수록 청년층이 줄어들고 고령자가 많아지고 역으로 이게 바뀌었거든요. 그래서 이런 게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해서 청년이 많이 유입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질의를 드리는데, 우리 인근의 음성군의 경우는 반면에 저희하고 역현상이 일어났더라고요. 최근에는 오히려 청년층이 늘어나고 노년층이 줄어드는 추세더라고요. 그래서 향후에 과장님께서는 청년·후계 농업인 육성에 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성한경 위원 네.

성한경 위원 그러면 올해는 21명이 됐다는 말씀이신 거죠?

성한경 위원 그러면 작년보다, 그런데 21년의 경우에는 30∼40대 청년이 그때 자료 주신 것을 봤더니 33명이었잖아요. 그러면 올해 21명이라고 하면 그래도 10명이 줄어든 추세잖아요, 청년농업인이? 그런데 지금은 농업도 스마트팜 등 젊은 농업인들을 많이 유입해서 사실 농업이 경쟁력이 저는 엄청나게 있는 산업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우리 진천 같은 경우는 수도권 접근성이 또 좋잖아요. 그래서 출하나 이런 것에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좀 노력해 주셨으면 하는 부탁을 드리겠고요.

성한경 위원 행감자료 23년도 성과분석 결과표를 봤어요. 도농교류행사지원, 농작업 대행서비스, 그다음에 여성농업인육성 이 세 부분이 미흡으로 평가가 되셨더라고요. 이것이 미흡이라고 등급이 나온 사유는 뭔가요?

성한경 위원 예, 행감자료요. 아니, 페이지 수가 기록이 안 돼 있을 거예요. 그런데 있기는 9페이지 앞에 있어요. 이게 중간에 들어와 있나 봐요.

아무튼 각 단체별 지원 내용에서 ‘도농교류행사지원’에 물안뜰에 180만 원 줘서 도농교류 행사하는 게 있어요. 그다음에는 진천, 덕산, 문백, 이월, 광혜원 거기에 ‘농작업 대행서비스’ 이게 있는데 이게 왜 미흡 등급이 나왔는지 궁금해서 질의 드립니다.

성한경 위원 그런데 왜 미흡이라고 등급이 나온 거예요? 그리고 이게 당초에는 200만 원씩 제가 알기로는 몇 년간 주는 사업 아니었나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올해는 200만 원이 지급된 거고?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 미흡의 사유는 뭐냐고요?

성한경 위원 이게 지금 등급이 미흡으로 나왔잖아요. 평가점수에서 74점 받아서 미흡, 그다음에 이 ‘농작업 대행서비스’도 73점 미흡, ‘여성농업인육성’ 사업도 미흡인데 이게 왜 미흡이 나온 사유가 뭐냐고요?

성한경 위원 그러니까요.

성한경 위원 아니, 여기 자료에 미흡이라고 나와 있잖아요. 그런데 지금 농작업 대행서비스는 문제가 뭐냐 하면 농협을 통해서 하시죠?

성한경 위원 그런데 예를 들어서 고령자, 여성농업인 이런 분들이 대상자잖아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분들이 자담을 농협에다 내고 농작업 대행하신 분한테는 농협에서 전액을 넣어주면 다시 또 자부담금을 환급해서 그 농가에 넣어주는 방식이에요, 지금. 그런 방식으로 운영하고 계시죠?

성한경 위원 그런데 사실은 농작업을 대행해 주는 농가의 입장에서는 불편한 일이에요, 이게. 자부담을 농협에다 냈다가 농작업 대행한 분한테는 쉽게 말하면 100이라고 쳤을 때 50을 자부담을 받잖아요. 이 받는 부분을 농협에다 냅니다. 그러면 이 100을 농협에서는 농작업 대행해 준 농가로 입금을 해요. 그러면 농작업 대행해 준 농가에서는 다시 50% 자부담에 한해서 대행을 처음에 요청하셨던 농가에 도로 입금을 해 주는 시스템으로 지금 운영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사실 이게 번거롭거든요. 자부담을 만약에 안 한다면 농협은 우리가 5억 4,700만 원을, 올해 같은 경우 예산이 5억 4,700인데 농협은 5억 4,700이라는 돈을 보관하고 있다가 농작업 대행서비스 돈을 주는 게 연말에 주잖아요. 다시 지급해 주잖아요, 작업한 농가에. 그리고 6월 달쯤에 주는 것은 뭐를 주냐 하면 모심기, 논농사에 한해서는 그때 주는데, 그러니까 연 2회 지급되는 거죠, 어떻게 보면. 그런데 이게 사실 많이 불편하다고 얘기들을 많이 하시거든요. 저희 같은 경우도 이게 불편한 사항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우리 예산을 주는데 농민들이 편하고, 농민들이 실질적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혜택을 볼 수 있고 이렇게 돼야 되는 시스템인데 농협에다 전적으로 그냥 맡겨서 이걸 운영하다 보니까 농가들이 불편한 거예요, 이게. 일하다 말고 입금하고. 사실 지금 뭐 콕뱅크 핸드폰에 깔아 가지고 많이 하시는데 이것 못하는 사람도 엄청 많아요, 고령자도 많기 때문에. 그래서 이것을 어떻게 좀 개선을, 제가 작년에도 이것을 말씀드렸는데 여전히 똑같이 시스템이 바뀌지를 않아서, 이것 좀 한 번 더 짚어 주셨으면 좋겠다는 건의를 좀 드리고요. ‘여성농업인육성’은 73점으로 미흡이 나왔잖아요. 올해 여성농업인 육성 사업이 뭐가 부족한 게 있었나요?

성한경 위원 아니, 저도 모르니까 질의 드리는 거죠.

성한경 위원 저는 개인적으로 우리 기술센터 직원분들은 현장 업무도 많고, 그렇다고 행정 업무를 안 볼 수도 없는 입장이고 하기 때문에 항상 안타깝게 생각하고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그런데 이런 것이 나온 게 저는 너무 마음이 안타까워서 드리는 말씀이지 이걸 잘못하셨다고 질책하고자 드리는 말씀은 아니고요. 그런데 특히 저 같은 경우도 여성농업인이니까 왜 여성농업인 사업이 미흡했나 이게 좀 아쉬워서 질의를 드린 거고요. 여성농업인도 건강검진도 해 주고, 지금 솔직히 취미 여가 그런 것 기타 교실도 하고 여러 가지 많이 하는데 이게 왜 미흡이 나왔는지 저도 아쉬워서 질의를 한번 드려봤습니다.

그리고 2024년도 귀농하신 분들 자료 좀 저한테 보내 주세요.

성한경 위원 이상입니다.

라. 축산유통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및 행정사무감사

○축산유통과장 윤경순 선서, 본인은 진천군의회 행정사무감사 특별위원회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에 임하여 성실하게 감사를 받을 것이며, 또한 증인으로서 증언을 함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법」 제49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46조 및 진천군의회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에 관한 조례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양심에 따라 숨김과 보탬이 없이 사실 그대로 말하고 만일 진술이나 서면답변에 거짓이 있으면 위증의 벌을 받기로 맹세하고 이에 선서합니다.

2024년 12월 4일 축산유통과장 윤경순

성한경 위원 성한경 위원입니다.

업무보고 12페이지 보면 계속사업에 농산물 수출농가 육성 지원 사업이 있어요. 이것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성한경 위원 그러면 화훼류가 어느 단체에 어떻게 구근이나 종자, 아니면 생산시설을 지원해 준 건지 답변 부탁드릴게요.

성한경 위원 네.

성한경 위원 백합하고 작약?

성한경 위원 그러면 법인으로 지원이 된 건가요, 개인으로 된 건가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 사업에서 작약, 이게 쉽게 말해서 2023년도 수출분에 대해서 24년도에 지원을 해 주는데 구근으로 주신 사업이죠?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게 사실 작목반 사람들도 누구를 통해서 어떻게 지원이 되는 건지 아무도 모르고 있어요. 알고 계셨나요?

성한경 위원 그래서 이것에 관한 것을, 그러면 올해 작약 구근 들어왔어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게 사실 군비로 다 주는 것도 아니고 5 대 5 매칭사업이잖아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내 자부담이 들어가는데 내가 얼마짜리 구근을 몇 개를 받는지도 아무도 모르고 있다는 걸, 지금이 12월인데 지금까지 모르고 앉아 있다는 건 이것은 문제가 많다고 저는 생각되는데 팀장님 생각은 어떠신지 답변 부탁드릴게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 자료 취합되시면 이것에 관한 그 세부 자료를 저한테 자료 좀 보내 주세요.

성한경 위원 이상입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