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 심사

1) 체육진흥과소관 예산심사

(10시00분)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궁금해서 물어보는데 156쪽에 보면 어린이물놀이시설 운영에 대해서 900만 원이 증액됐어요. 이 사업이 어떻게 된 사업이에요?

장동현 위원 지금 우리 금년에 물놀이장이 어디어디 운영을 했어요?

장동현 위원 예컨대 물값이 이렇게 900만 원이나 더 증액이 됐어요?

장동현 위원 아니, 정리 추경에 이게 올라와 가지고 예산이 궁금해서 물어보고요. 아울러 158쪽에 보면 국도비반환금에 있어서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사업에서 한 1,000만 원 정도가 반환을 하는데, 이 사업을 가능하면 더군다나 장애인들에게는 이런 사업들이 잘 집행이 돼서 반환하지 않도록 해 줬으면 좋겠는데.

장동현 위원 예.

장동현 위원 예, 홍보를 잘해 가지고 다 사용할 수 있도록. 이게 장애인들은 자꾸만 늘어나고 있잖아요. 그렇죠? 늘어나는데도 불구하고 반환금이 생긴다는 것은 좀 더 우리가 홍보가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서. 전액 이렇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많이 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동현 위원 이상입니다.

5) 식산업자원과소관 예산심사

(10시17분)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궁금해서 질의하는데 225쪽에 보면 민간이전해 가지고 6억 2,294만 9,000원이 감액됐어요. 총예산 10억에서 이렇게 6억씩 감액된 이유가 어디 있어요?

장동현 위원 여기 예산 세울 때 평균 강우량 이런 것을 조사해서 세우신 건가요?

장동현 위원 그 밑에 보면 또 17억이 감액이 됐잖아요, 예산이. 그렇죠? 처리시설 유지보수, 예비저장조 설치사업.

장동현 위원 그런데 이 예산이 그 위에 민간이전하는 사업하고 같이 연관된 사업 아니에요? 이게 예컨대 비가 많이 왔을 때 급하게 저장조에다가 모아 놨다가 나중에 치우려고 했는데 이게 또 예산이 전액 감액이 됐어요?

장동현 위원 사업계획을 세울 때 잘 확인을 해 가지고 세웠어야 되는 건데. 그래야지 이게,

장동현 위원 앞으로도 위험의 산재요소는 안고 있는 거잖아요. 그렇죠?

장동현 위원 이렇다고 해서, 예산이 지금 이제 삭감한다고 해도 다음에 또 예산 세워서 하지 않을까요? 해야 되잖아요.

장동현 위원 아니, 그 지역이 우리 지역이 아니라 음성지역이잖아요.

장동현 위원 음성군의 협조가 없으면 부지 물색이 안 되는 거잖아요.

장동현 위원 음성군에서 부지를 내줘야지. 공동으로 사용하는데 관리만 우리가 하지 침출수의 문제는 고스란히 우리 지역 초평면 쪽으로, 만약에 유출이 되면 초평면 쪽으로 피해를 입는 거잖아요. 그래서 이 사업을 음성군하고 적극적으로 이렇게 협의가 돼서 부지를 확보한 다음에 예산을 세워서 했어야 되는데, 이렇게 마지막에 정리 추경 때 삭감을 해 버리면 우리가 다른 사업 하려고 했다가 예산이 없어서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까 이런 예산 세울 때 좀 준비를 잘해 가지고 예산을 세워 줬으면 좋겠습니다.

장동현 위원 이상입니다.

11) 상하수도사업소소관 예산심사

(10시49분)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 좀 드리겠습니다. 509쪽에 보면 하수도 설치 및 관리에서 14억에서 9억 6,500만 원이 감액이 됐는데 이렇게 감액하고도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이 되겠어요? 올해 국비가 덜 들어와서 이렇게 하는 거예요?

장동현 위원 예산확보를 빨리 해서 이게 시간이 오래 걸리면 걸릴수록 민원발생은 많이 생기잖아요. 예산확보를 빨리해서 속전속결로 빨리 마무리를 지어야지 민원해소에도, 또 지역의 폐수로 인해서 고통받는 사람들도 해결이 될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동현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