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임정열
  • 경제과장 강선미
  • 김기복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장동현 위원
  • 김성우 위원
  • 투자유치과장 김경완
  • 환경과장 김영숙
  • 성한경 위원
  • 식산업자원과장 이선미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 심사

1) 경제과소관 예산심사

(10시00분)

김기복 위원 김기복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80페이지에 보시면 세부사업에 가운데 진천·음성 탄소중립 시험인증산업특구 육성 지원사업으로 군비 1억 원을 계상하셨거든요. 이거는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인가요?

김기복 위원 충북연구원에서 저기를 하는 거지요. 이거는 우리가 매년 1억씩인가요?

김기복 위원 4년간?

김기복 위원 우리가 그럼 23년도, 24년도 가고 있는 거네요. 23년도에도 우리가 했나요?

김기복 위원 네, 그 바로 밑에 보시면 세부사업에 산단지붕 태양광 가상발전소 사업을 또 1억을 계상해서 하시는데요, 이거는 어디에다가 하시는 건가요?

김기복 위원 그러면 그게 어디 있는 회사예요?

김기복 위원 장소가?

김기복 위원 네, 잘 알았고요. 저 뒤에 가시면 1099페이지에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으로 해서 우리가 계상해 놓으셨는데, 지금 우리가 올해 본예산에 4,493만 원을 계상해 놓으시면 모든 게 다 지원이 가능한 건가요?

김기복 위원 그러면 우리가 올해 지원을 점차적으로 하고 있는 건데 우리가 지원하려고 맨 밑에 1,700만 원을 더 증액시켜 놨거든요? 밑에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으로 해서 5,630만 원 중에 1,700만 원을 증액하셔서. 이 증액한 이유는요? 1,700만 원을 증액한 이유.

김기복 위원 예, 잘 알았습니다.

3) 환경과소관 예산심사

김기복 위원 김기복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24페이지 맨 밑에 세부사업 연구개발비란에 가축사육제한구역 지형도면 변경고시 용역으로 2억 2,000을 우리 군비로 계상하셨어요. 이것의 필요성은 무엇인가요?

김기복 위원 네, 맞습니다.

김기복 위원 네, 맞습니다.

김기복 위원 그러니까 우리가 매 5년마다 수립을 해 줘야 되는 그 사업이네요?

김기복 위원 이해 잘 했습니다.

4) 식산업자원과소관 예산심사

(11시16분)

김기복 위원 김기복 위원입니다.

몇 가지만 질의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36페이지에 보시면 통계목란에 위생업소 시설개선사업. 하단 부분에 있습니다, 통계목란에. 여기에 200만 원씩 20개소를 4,000만 원을 계상해 놓으셨어요. 주로 이 대상의 기준은 어떤 기준이며 올해 신청한 업소들은 또 얼마나 되며, 이런 질의입니다.

김기복 위원 올해?

김기복 위원 예, 그러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선정기준에, 대상기준에 부합을 해야 되겠네요?

김기복 위원 시대 흐름에 따른 편안한 음식문화 조성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서 이런 것들은 점차적으로 확대가 되면 좋겠고요. 441페이지에 한번 가시면 여기도 통계목이에요. 폐의약품 수거함 설치를 10개소 대상으로 50만 원씩 해서 500만 원을 해 놓으셨는데 이 10개소는 이미 확정을 다 해 놓으신 업소들인가요, 병원들인가요?

김기복 위원 맞습니다. 네.

김기복 위원 우리 분리수거에 있어서 지난번에도 우리 동료위원님께서 5분발언한 관련된 사업인데. 이것도 시범사업 10개를 하지만 이것도 점차적으로 우리가 확대 검토가 될 수 있는 부분이네요. 그렇죠?

김기복 위원 그리고 442페이지에 가시면 여기도 마찬가지 통계목이에요. 백곡지환경보호 지원으로 맨 밑에 거의 밑에, 여기에 우리가 원래 200만 원이었는데 400만 원으로 증액을 해 주셨어요. 너무 감사드리고요. 이거는 저수지에 쓰레기를, 우리가 하고 싶어도 못하잖아요. 배를 타고 나가서 해야 되는 건데 이거를 봉화로타리에서 주기적으로 해 주시는 부분이에요. 그런데 저도 한 번 나가 봐서 같이 이것을 한 적이 있었는데 워낙 쓰레기들이 많으니까 봉화로타리에서 그걸 해 주지 않으면 그 쓰레기를 저수지에 감당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에요. 그러니까 청정백곡이 아니라 정말 오염된 백곡저수지의 백곡이 될 건데, 이분들이 주기적으로 해 주시는데 예산이 200만 원으로 이거를 해 주시니까 너무 힘들었던 부분이에요. 이제 400만 원으로 해 주셨는데 이렇게 상황을 살펴보시면서 점차적으로 이런 것들 우리가 할 수 없는 부분을 민간에서 해 주시는 거니까 이런 것도 우리가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부분이고요. 그 밑에 가시면 자연보호활동에 442페이지인가요? 우리가 자연보호 진천군협의회에 500만 원을 지원을 해 주고 있어요. 현재, 자연보호활동에. 여기에서 제가 하나 건의드리고 싶은 건 가능한지, 우리가 지원 근거가 되는지 안 되는지를 건의를 드려 보는 거예요. 자연보호 진천군협의체는 아니지만 진천군에 행복산악회라고 있어요. 거기에서 매달 첫 주 백사천에 쓰레기를 늘 수거를 해 주세요. 그 단체 한 50∼60명 되시는 분들이. 50명 정도 되실 거예요. 그러니까 여기에 우리가 쓰레기봉투라도, 아니면 쓰레기 수거할 때 필요한 용품들 있잖아요. 최소 그런 것 정도를 지원을 해 주시면 봉사를 해 주시는데 고마운데 당신네들이 자부담으로 다 이걸 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이것도 한번 가능한지, 우리가 지원을 해드릴 수 있는 부분인지. 매주 첫 주 토요일 날 아주 정기적으로 하고 있어요. 고마운 단체예요.

김기복 위원 아, 그래요?

김기복 위원 그러면 어디에다가 그걸 신청을 하나요?

김기복 위원 예, 그 부분 우리가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는 부분들이었고요. 우리 진천군을 위해서 환경보호를 해 주시고 계시니까. 그리고 444페이지에 가시면 농촌폐비닐 공동집하장 설치 통계목에 우리가 500만 원씩 3개소를 지금 해 주시고 계세요. 이 3개소는 어디 지역인가요?

김기복 위원 가능하도록, 지원을 하도록?

김기복 위원 그러면 이 부분에 있어서 우리가 아직 3개소는 선정이 안 된 거지요?

김기복 위원 예산 수립만 해 놓는 거죠?

김기복 위원 아, 예. 그래서 여기와 관련된 것 같아서 여기에서 지금 제가 질의를 드린 건데요. 우리가 진천읍 새마을회에서 아주 주기적으로 각 농촌의 폐농약병이라든가 그 모든 것을 새마을회원들이 수거를 해 갖고 와요, 지역지역마다. 그런데 문제는 집하장이 없는 거예요. 그래서 집하장 요구를 꼭 하고 계세요. 가능한 건지 안 가능한 건지. 그런데 그분들이 토지를 확보를 못하잖아요, 새마을회에서.

김기복 위원 그렇죠. 그 부분도 우리가 한번, 왜냐하면 그렇게 많은 거를 수거해 가지고 집하장이 없으니까. 그런 부분도 우리가 조금 살펴보면 우리 환경정화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오늘 예산 관련해서 이 자리에서 질의를 드려 봤습니다.

김기복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