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기복
  • 환경과장 김영숙
  • 김성우 위원
  • 임정열 위원
  • 이강선 위원
  • 장동현 위원
  • 환경정책팀장 김옥경
  • 기획감사실장 주선희
  • 수계관리팀장 정찬희
  • 식산업자원과장 이선미
  • 윤대영 위원
  • 자원순환팀장 어관준
  • 산림녹지과장 김종덕
  • 지역개발과장 연성훈
  • 건설교통과장 최영훈
  • 성한경 위원
  • 안전정책과장 은민호
  • 건축디자인과장 윤혜순
  • 상하수도사업소장 이경희
  • 예산팀장 김석수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심사

(1)환경과소관 예산심사

(09시01분)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228쪽에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해서 국가가 직접 지원하는 사업으로 돼 있는데, 우리가 2.4㎿h 전기시설을 설치한다고 했는데 어디다 설치하시는 거예요? 사업내용에 보면 ESS 설치를 어디다 하실 건가.

장동현 위원 2.4㎿h 태양광 설치를 하실 거잖아요.

장동현 위원 그러면 설치를 그 위치가 나와요, 하수종말처리장 내에?

장동현 위원 예, ESS 설치사업 해 가지고 2.4㎿h 설치를 하신다고 했는데 사업내용에.

장동현 위원 그래요? 본 위원이 생각하기에는 우리가 폐수, 하수종말처리장 내에 부지가 마땅치 않아서 그래서 물어보는 거거든요. 어디 위치에 설치를 해서 이걸 들일 건가 규모는 어떻게 되는 건지 궁금해서.

장동현 위원 네.

장동현 위원 지금 하고 있는 데 저수지 옆에 말고?

장동현 위원 면적은 얼마 정도 차지해요?

장동현 위원 이 사업하는데 우리가 5억이 들어가는 거예요?

장동현 위원 예?

장동현 위원 태양광 설치는 어디에다 할 거예요?

장동현 위원 저수지에 설치하는 거는 아니죠?

장동현 위원 저수지에 설치하지 마세요.

장동현 위원 예, 그런 거는 저희가 이해가 됐는데 저수지 같은 데다 설치해서 주민의 민원을 사지 않도록 해 줬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을 드리고요. 거기에다 설치 안 한다고 하니까 이해가 됐습니다.

그리고 548페이지에 보면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에 있어서 약품비 및 폐기물 처리비가 증가해서 예산이 계상됐는데 갑자기 이렇게 계상된 이유가 어디에 있어요?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548쪽 신척산수산단에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관리에 있어서 1억 8,700이 증액됐는데.

장동현 위원 약품 물가가 올라서 증액을 하는 거예요, 아니면 들어오는 물량이 많아서?

장동현 위원 1억 8,700이면 계상이 많이 돼서 갑자기 이렇게 많이 증액하는 이유가 물가 상승이나 아니면 유입량이 많다고 하는데 이 양이 금액으로 보면 변화가 많아서. 그래서 질의를 하는 겁니다.

장동현 위원 약품비 및, 투자계획으로 보면, 주요사업 설명서에 보면 ‘폐기물처리비 증가에 따른 소요예산 반영’ 이렇게 돼 있거든요. 그런데 이렇게 갑자기 2억 정도가 증액이 돼서 그 부분이 궁금해서 질의를 하는 겁니다.

장동현 위원 네.

장동현 위원 한화큐셀에서 들어오는 물량은 우리가 계상했던 것 아니에요, 다?

장동현 위원 아, 물량이 늘어 가지고.

장동현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5)건설교통과소관 예산심사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한 가지 궁금해서 질의를 드리는데 297쪽에 공영주차장 조성 사업해서 1억 6,000 정도 계상이 됐는데 이게 부지 매입비예요, 아니면 시설비로 하는 거예요?

장동현 위원 전환하는데 그 평수가 몇 평이지요, 거기에 지금? 지금 우리가 매입하려고 하는 땅이.

장동현 위원 그런데 돈이 너무 적게 책정이 돼서 매입비가 상당히 부족할 거로 보는데 이것만 책정해 가지고.

장동현 위원 지금 그 광혜원에서 남은 돈을 이쪽으로 전환해서? 당장은 쓸 수가 없는 돈이네요, 이게. 그렇죠?

장동현 위원 본 위원이 궁금한 건 1억 6,000 갖고 거기 400평의 규모를 매입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시설비인지, 매입비인지 궁금해서 그러는데.

장동현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8)상하수도사업소소관 예산심사

(10시18분)

장동현 위원 장동현 위원입니다.

522쪽을 좀 보겠습니다. 개량사업 및 지하정보 정확도 개선사업으로 인해서 진천∼동면 간 도로건설공사로 인해서 사업비가 11억이 계상됐는데 이 사업이 어떻게 되는 사업이에요?

장동현 위원 증액이 1억 됐잖아요. 예산은 11억.

장동현 위원 아니, 그 도로를 대전국토관리청에서 해야 할 사업이 왜 우리 지자체에서 우리가 그걸 부담을 하면서 그렇게 해야 되는 이유가 있어요? 거기에서 공사를 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장동현 위원 아니, 국가가 하는 사업에 국가가 그걸 다 계상해서 해야 할 사업 아니에요? 우리가 군에서 돈을 들여서,

장동현 위원 우리가 못한다고 하면?

장동현 위원 그 민원을 발생을 시켜야지요? 민원 발생시켜서 국가에서 하라고 해야지 국토관리청에서. 적은 돈이 아닌데 11억씩 우리가 들여서?

장동현 위원 국가 물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또 지역과 지역 간의 어떤 소통을 하기 위해서 국가에서 하는 사업인데 이것을 지하 상수도 매설을 우리가 지자체에서 이것까지도 도와줘 가면서 해야 된다는 이야기는 좀 우리 군비 예산절감 차원에서도 적극 대응해야 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그렇게 생각 안 들어요?

장동현 위원 아니, 지금 예산에는 예산액에 기정액이 10억이고 증감이 1억 된 거잖아요.

장동현 위원 그럼 11억이죠.

장동현 위원 아닌데, 여기 투자계획에 보면 군비가 11억으로 돼 있거든요. 그래서 제가 질의를 드리는 거고. 우리도 군에서 발주를 할 때 사업을 하면 그런 것이 다 포함돼서 사업 발주를 하잖아요. 그렇죠? 도로 개설할 때 우리가 그런 것까지 다 포함해서 사업비 계상을 해 주지.

장동현 위원 네.

장동현 위원 그러면 우리 군에서 상수도 매설을 할 때 국도를 우리가 사용을 한 거잖아요. 그렇죠?

장동현 위원 사용을 할 때 계약을 우리가 나중에 문제가 발생됐을 때는 우리 군에서 이설을 한다, 그런 조건으로 한다?

장동현 위원 그 사업비가 그 구간에 1억이 들어간다 이 말이에요?

장동현 위원 그런데 군비가 전체 이렇게 해서 하니까 누가 봐도 이거는 11억이 들어가는 걸로 돼 있으니까. 그래서 이렇게 큰돈을 들여서 하느냐 이런 생각이 들었고. 이해가 됐습니다. 예,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