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기복
  • 문화관광과장 박근환
  • 이강선 위원
  • 관광팀장 김선명
  • 임정열 위원
  • 성한경 위원
  • 윤대영 위원
  • 김성우 위원
  • 장동현 위원
  • 주민복지과장 정덕희
  • 가족친화과장 이영자
  • 체육진흥과장 김남현
  • 교육청소년과장 박진숙
  • 경제과장 강선미
  • 투자유치과장 김경완
  • 김기복 위원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심사

(1)문화관광과소관 예산심사

(10시01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먼저 우리 진천 농다리 출렁다리, 한반도 전망대 방문객이 아마 한 102만 명이 돌파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 문화관광과 과장님 이하 직원분들께서 그동안 많은 수고를 해 주셔서 농다리나 관광명소화에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하면서 한 가지만 질의드리겠습니다. 101페이지에 보시면 관광시설 제초 및 환경정화 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관광시설 제초 및 환경정화. 당초 5,549만 3,000원에서 2,251만 4,000원이 감액돼서 3,297만 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는데 올해 과장님도 알다시피 폭염으로 인해서 사실 도로변이라든지 관광지 주변에 풀 같은 게 엄청 많이 나와 가지고 상당한 민원들이 들어왔었어요. 이월도 그렇고 초평도 그렇고 진천 7개 읍면 어디를 막론하고 다 그런 경우가 있었는데, 이게 예산이 남아 있어서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우리가 수요가 엄청 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산이 줄어서 어떤 이유가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지금 한 가지 한군데 예를 들면 이월 스토리창작클러스터 가는 쪽에 진입로 있잖아요, 통행로. 그쪽에서도 이월 주민들이라든지 방문객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제초, 풀들이 너무 많이 나서 걷지를 못할 정도로 심하다, 지난번에도 한번 우리가 전화를 드려서 민원에 대한 전화를 드렸는데, 이렇듯이 지역을 막론하고 우리가 군에서 미처 이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제초가 많이 생기다 보니까 그런 부분도 있겠지마는 이런 부분들을 철저히 해서 얼마 있으면 추석도 있고 문화제도 있고 계속해서 방문객이 이어지는데, 이런 부분도 정화를 깔끔하게 해 주셔서 오신 분들한테 좋은 인상으로 남을 수 있게끔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2)주민복지과소관 예산심사

(10시29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주민복지, 노인복지를 위해서 항상 노력해 주시는 정덕희 과장님을 비롯한 직원분들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25페이지 보시면요, 노인단체 지원(경로당 양곡비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2억 899만 9,000원에서 국비가 50%이고, 도비 15%, 군비가 35%로 되어 있잖아요, 과장님.

임정열 위원 지금 우리가 5월 1일부터 주5일제 식사가 제공되면서 양곡 지원되는 게 8포에서 12포 해서 240㎏이 지원이 되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여기 지금 진천군 관내에 경로당 수가 정확히 몇 개 정도 되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여기 지금 경로당에서 식사 도우미가 운영이 되잖아요. 그런데 이거에 대해 제가 잠깐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도우미가 군 복지관에서 노인일자리 차원에서 하는 거지요, 이 사업이?

임정열 위원 그런데 우리 경로당은 어디에서 관리하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그러니까 경로당별로 식사도우미가 3명인 데도 있고 2명인 데도 있나요?

임정열 위원 3명 있지요? 3명 있는 데 있고 2명 있는 데 있고. 그런데 그분들이 시니어에서 하는데 도우미들이 의료보험 혜택이 제공되고 있지요?

임정열 위원 일자리사업. 그런데 이게 어떤 문제점이 있냐면 주민 의료보험이 적용이 되다 보니 바우처 카드에서 일단 제외가 돼요. 제외가 되고, 또 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 보니까 조합원에서도 제외되는. 그리고 또 지금 현재 65세 이상 되신 분들이 현장에서 일을 하시는 건데 그분들이 지금 현재까지는 지역의료보험 가입도 되고 또 가족들 중에서 불입 피보험자가 되고 해서 들어가 있는데 여기 이 일자리에서 의료보험 적용이 되다 보니 제가 좀 전에 말씀드렸던 이런 몇 가지 부분에 대해서 불이익을 보고 있어서 이런 부분은 좀 개선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게 사실은 여기 도우미분들이 아예 의료보험이 안 된다면 모르겠는데 기존에 되어 있던 분들이 여기 의료보험 발급이 되다 보니까 이런 두 가지 정도 상황에서 현재는 불이익이 있어서 이 부분은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이게 식사도우미도 한 70만 원 정도?

임정열 위원 그래도 지금 현재 식사도우미로 일하시는 분들이 보통 동네 분들이잖아요.

임정열 위원 지금 과장님 말씀하신 대로 그런 문제점도 있어서 개선이 되어서 그렇게 함에도 불구하고 여기 지금 종사하시는 분들이 마을 분들이다 보니까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불이익도 있고 하니 과장님께서 한번 이런 불이익이 없게끔 다각적으로 방법을 강구하셔서 그런 일이 없게끔 노력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그리고 우리가 지금은 주 5일이잖아요, 식사하시는 게. 그런데 주 7일간 경로당 운영을 위한 우리가 또 계획을 하고 있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런데 이게 안전관리사 그거를 배치하게 되어 있는데, 만약 7일 운영하게 되어 있으면. 그런데 이게 지자체 시범 공모사업으로 되어 있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그 마을별로 양곡 지원이 공히 똑같은 건가요, 아니면 등록된 회원 수에 따라서?

임정열 위원 그런데 왜 이런 말씀을 드리냐 하면 지난번에 한번 주민복지 노인회 회장님들, 총무님들 설명회 했었잖아요, 복지관에서. 어떤 마을 총무님이랑 회장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우리 마을은 쌀이 그냥 남아서 어떻게 할 방도, 처리하는데 오히려 문제가 있다”라는 동네도 있고. 또 어떤 경로당 같은 경우는 여기에서 지원해 주는 것 갖고서는 너무 부족하니까 동네 마을 기금 갖고서 사실 충당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래서 이거는 노인 등록된 회원 수에 준해서 지급을 해 주면 이런 문제점이 좀 해소가 될 것 같은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하여튼 경로당에서 생활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고 1인 가구도 있고, 홀로 혼자서 계시는 분들이 많다 보니까 사실 경로당에서 식사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앞으로도 더 계속 늘 거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군에서 좀 더 촘촘하게 챙겨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5)교육청소년과소관 예산심사

(11시20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186페이지에 한 가지만 질문드릴게요. 청소년 정치참여 아카데미에 600만 원이 삭감됐어요. 이 사업이 중단된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사업을 포기를 했어요?

임정열 위원 이게 원래 연말 11월 달쯤 해서 진행되는 거잖아요. 그전에도 보면 2019년부터 됐던 거지요, 이 사업이?

임정열 위원 이거를 NGO하고 사회단체하고 우리가 협약을 해서 진천군에서 예산을 지원해 주는 사업인데, NGO 사회단체에서 신청자가 없다?

임정열 위원 참여자가 없다?

임정열 위원 이번에만 그렇게 된 거예요, 아니면 전에도 이렇게 어려움이 있었던 건가요?

임정열 위원 이게 원래 당초 우리 사업의 목적을 보면 “청소년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목적”을 두고 이 사업이 진행이 됐잖아요. 군에서 이런 부분을 예산만 주는 게 아니라 좀 더 적극적으로 군에서 관여해서 원래 목적대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했어야 되는데 그런 부분이 좀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요.

임정열 위원 글쎄, 이 사업이 시작된지 얼마 안 됐는데 자리잡혀 가는 과정 속에서 올해 같은 경우 참여자가 없어서 그렇게 됐다면 그동안에도 사실 큰 사업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사업이 진행됐다는 것뿐이 안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이런 부분은 좀 더 우리 군에서 예산을 지원해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업이 본래의 목적대로 진행이 될 수 있게끔 그런 지도도 분명히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임정열 위원 만약에 불필요해 가지고 참여율이 떨어지고 필요가 없는 사업이라고 하면 이 사업 자체가 존치의 필요성이 없다라고 봅니다. 앞으로 내년에는 이런 게 반복되지 않게끔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6)경제과소관 예산심사

(11시27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202페이지에 보시면 취약근로자 교육 및 법률구조상담 지원사업이 있습니다. 과장님, 하단에.

임정열 위원 이 사업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게 공모사업에 선정이 된 거잖아요. 2024년도에 첫 시행하는 사업이잖아요, 이 사업이?

임정열 위원 신청기간이라든지 신청방법은 어떻게 돼 있죠?

임정열 위원 만약에 여기에서 선정돼서 상담을 원할 경우는 어디에다 하는 거예요?

임정열 위원 상공회의소에서?

임정열 위원 이 사업이 어떻게 보면 우리 취약된 근로자 쪽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런 좋은 제도가 우리 근로자들한테 홍보가 적극적으로 돼서 이용을 많이 할 수 있게끔 적극적으로 노력을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