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1. 의사 집단휴진 해결 촉구 건의문 채택의 건(성한경 의원 발의)

(10시00분)

가. 농업정책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21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2페이지에 보시면 생거진천쌀 명품화 추진 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사업비가 14억 8,000만 원이잖아요. 여기 지금 대상 기준은, 지원대상은 어떻게 되죠?

임정열 의원 아무튼 장려금 지급 제도는 우리 진천쌀을 명품화로 만들기 위한 사업이잖아요.

임정열 의원 여기에서 보면 단백질 검사했을 때 6.3 이하만 지급이 된다 그랬어요, 과장님?

임정열 의원 우리가 단백질 기준을 볼 때 단백질 함량 몇%, 몇%도 중요한데 보통 수, 우, 미로 가잖아요. 수가 6.0 이하이고 우가 6.1에서 7.0이고 미가 7.1 이상이에요. 그러면 여기에서 6.3이나 6.5나 큰 차이가 없다는 거예요. 그래서 이거를 우리가 진짜, 밥 한 공기에 200그램 기준에 310칼로리가 되어 있고 탄수화물이 67그램이에요. 그러면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주는 이유가 뭐냐 하면 밥을 먹을 때 당뇨라든지 성인병에 대한 그런 부담도 있어서 쌀 소비량이 계속 준다고 볼 때 이거를 어차피 진천 명품쌀 장려금이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을 6.3으로 가서는 안 된다. 그래서 지금 여주에 임금님표 골든퀸 같은 경우는 5.7이에요. 5.7 이하면 밥맛이 엄청 좋고 여기에 저기가 없는 거예요. 탄수화물이라든가 그런 게 떨어지기 때문에 지금 소비자들은 어떤 쌀값을 보는 게 아니라 건강을 생각하기 때문에 건강식이라면 지역에도 건강 쌀 판매하던 분들 있잖아요. 그러면 그분들도 쌀 주문이 소비자들 이거 먹어 본 사람들은 이것만 먹게 되거든요. 그래서 진짜로 생거진천쌀을 명품화하려고 하면 조금 더 관리를 철저하게 해서 이분들한테 어떤 혜택, 진짜 고품질을 만드는 농업인들한테 그런 다양한 혜택이 가야 되는데 6.3에 대해서는 큰 저기가 없다. 과장님, 여기에 대한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의원 왜냐하면 장려금 14억의 예산이 지출된 건데 14억에 대한 가치가 있으려면 생거진천 명품쌀을 만들어야 된다는 그런 생각이에요. 그리고 쌀 포장지에 양곡에 대한 표시사항 같은 게 있어서 쌀 품목, 품종, 등급 이런 게 표시가 되면 소비자가 쌀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된다고 보는데 그런 거를 좀 강화해서 여기 쌀 등급에 쌀 단백질 함량이 몇%, 아니면 수, 우에서 수. 그러면 믿고 거래가 되잖아요, 소비자들이 찾는 게. 그래서 그런 쪽으로 좀 강화해서 생거진천쌀이 진짜로 명품쌀이 될 수 있게끔 노력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예, 이상입니다.

나. 농촌지원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45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9페이지 보시면 농촌여성 농부증 예방 농작업 장비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과장님. 9페이지 농촌여성 농부증 예방 농작업 장비지원사업. 이 사업이 보면 한국생활개선진천군연합회에서 대상자를 선정하는 건가요? 그 교육생.

임정열 의원 추천을 해서 선정하는 건가요, 그러면? 사업 선정을?

임정열 의원 계속사업이지요? 21년부터 하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이 사업을 통해서 지금 현재 원래 농부증이라는 게 정신, 신체적 어떤 문제점이 있는 예방차원에서도 되고 장비, 안전 교육 문제, 그런 사업이지요, 이게? 사업내용을 볼 때.

임정열 의원 농촌여성들한테 어떤 기여가 많이 되는 그런 좋은 사업이네요?

임정열 의원 이런 사업들은 조금 더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봐서 이건 적극적으로 확대를 해 주시면 좋겠다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남기순 소장님께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여성농업인들 복지수요에 대한 문제인데 우리 여성농업인들이 사실 정책이 많이 있잖아요. 우리 진천군에서 실시하는 사업들이 많이 있는데 우리가 화장실 문제, 경작지 주변에 화장실 같은 게 지금 열악하잖아요. 그게 지금 진천군에서 이동식 친환경 화장실 설치되어 있는 데가 있나요?

임정열 의원 왜냐하면 지금 여성농업인들이 요구하는 게 그런 부분들의 불편한 사항들이 들어오더라고요. 그래서 다른 데 봤더니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여성농업인들이 집단작물 재배 지역 3개 농가, 재배 지역에 3개 농가 이상 지역하고. 또 마을 작목반, 농업 법인으로 선정을 해서 이게 한 300만 원 정도 하더라고요, 친환경화장실이. 그래서 지원이 270만 원이고 30만 원정도가 자부담. 그래서 사실 이런 부분들은 우리가 복지 차원에서 먼저 시행을 했는데 만약에 안 됐다 그래서 중단될 것이 아니라 이런 부분들 한번 수요조사를 해서 이게 진짜 필요한 사업이라고 하면 우리 진천군에서 적극적으로 이 사업에 어떤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데, 이에 대한 소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의원 지금은 300만 원 정도 된다 하더라고요.

임정열 의원 자부담도 발생되는 부분이니까 그런 부분까지 조사해서.

임정열 의원 예,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라. 축산유통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1시27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8페이지 보시면요,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 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사업 추진상황을 보니까 23년, 지난 4월에 농식품부 공모사업을 신청해서 24년 1월에 사업 대상자가 확정이 됐습니다. 아무튼 사업 대상 선정이 되기까지 수고해 주신 남기순 소장님과 이호준 과장님을 비롯한 모든 직원들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궁금해서 한 가지만 질문드리겠습니다. 이 사업이 69억 정도 되잖아요, 사업비가.

임정열 의원 국비 27억하고 자부담도 27억이에요.

임정열 의원 자부담은 법인에서 대상자로 확정된, 여기서 나오는 건가요? 27억 8,000만 원이?

임정열 의원 그래서 이 사업 내용 보면 가공시설 신축이 1개소고, 건조저장시설 개보수는 3개소예요?

임정열 의원 그럼 이게 신축은 산수리에 있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이 3개소는?

임정열 의원 그래서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하는 사업인데 이 사업이 됐을 때 어떤 우리 농업인들한테 쌀 벼농사하시는 분들한테 어떤 혜택이 주어지는지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아무튼 고품질 쌀 생산 유통 정착하기 위한 조건을 보면 고품질 쌀 유통 체계가 확립이 돼야 될 것 같고요. 그래서 쌀 등급, 아까도 강상훈 과장님한테 말씀드렸지만 쌀 등급 기준 표시를 제도화해서 품종과 품질이 쌀값에 반영이 될 수 있게끔 해 주면 이게 정상적으로 갈 수 있다고 보고. 고품질 쌀 생산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해요. 그래서 명품 쌀 단지를 조성해서 품종 선택하고 종자소독이라든지 그런 거를 철저히 실천하는 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그런 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또 미곡식 처리시설에 대해서도 우리 과장님 말씀을 주셨지만, 이 현대화 시설에 대해서 농업인들이 적극 활용을 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저장에 대한 문제점이 다 해소가 되는 거잖아요. 제가 두 가지 유통 체계 확립에 대해서 쌀 등급기준 제도화, 쌀 생산 기반 구축 명품쌀 단지 조성에 대해서는 과장님 생각 어떻습니까?

임정열 의원 이런 부분 관리를 해서 어차피 우리 진천군 생거진천에서 나오는 쌀이, 벼가 전국 최고의 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