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의장 장동현
  • 건축디자인과장 윤혜순
  • 임정열 의원
  • 이강선 의원
  • 이재명 의원
  • 상하수도사업소장 이경희
  • 김기복 의원
  • 김성우 의원
  • 보건행정과장 김순희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건축디자인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00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 질의하겠습니다. 5페이지 보시면 빈집정비사업 있습니다, 과장님.

여기 사업개요를 보면 사업 대상이 1년 이상 거주하지 않았거나 사용하지 않은 빈집으로 수리 후 장기 임대 가능한 집이라고 말씀하셨잖아요. 그럼 이걸 군에서 임대를 하는 건가요, 빈집을? 아니면 우리 군에서 매입을 해서 우리 군이 자체적으로 임대로 하시는 건지?

임정열 의원 그러면 만약에 임대 기간이라든지 임대료가 있을 거잖아요. 그런 부분 협의는 어떤 식으로 해야 될까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이 임대 기간 3년이면 장기 임대라고 볼 수가 없잖아요, 이게. 5년 이상 넘어가 줘야지 임대 들어간 사람들이 어떤 불안감 없이 지낼 수 있지, 이게 3년이라고 임대 기간을 둔다면 기간 면에서 문제 있다고 보는데. 이걸 5년, 7년 이상으로 가줘야지 저기 되지, 만약에 그 임대인이 3년에서 임대 종료하고 본인이 활용할 수도 있잖아요. 4,000만 원 우리 예산이 들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임정열 의원 신청자는 다 종료가 되어 있나요? 3개소.

임정열 의원 어디 어디예요?

임정열 의원 진천읍에?

임정열 의원 그러면 여기 입주자격이 있을 거잖아요. 여기 보면 입주자 모집에서 3군데가 저기가 되면 입주자격에 우선순위가 선정하는 데 있어서 어떤 기준점이 있을 거잖아요. 어떤 기준은 있나요?

임정열 의원 만약에 임대가 안됐을 경우, 임대모집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런 경우는?

임정열 의원 그래서 입주자격에 보면 우선 이게 지금 취약계층이잖아요. 그래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또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이게 우리가 볼 때 말하는 취약계층이잖아요. 그래서 이 3항에 대해서가 1순위로 보고. 2순위로 보게 되면 관내 청년 19세부터 39세, 독거노인, 이런 분들이 취약계층이잖아요. 그런데도 이럼에도 불구하고 안 됐을 때 3순위로 임대인이 정하는 임차인하고. 임대인이 자기가 이거를 임대가 들어가야 될 거 아니에요. 그러면 임대인이 본인 스스로 노력을 해서 임차인을 찾을 것 같은데, 이런 식으로 어떤 기준이 있어야 되는데 지금 있습니까? 이런 기준에 대해서.

임정열 의원 지난번도 제가 어떤 자리에서 말씀을 드렸는데, 해남군 쪽에서 빈집정비사업으로 모범사례가 되고 있더라고요, 과장님. 그래서 해남군 사례 한번 벤치마킹할 필요성도 있어서 어찌 보면 처음 시도하는 사업이잖아요. 이 사업이 잘 돼서 어떤 정주여건 개선도 되고 인구 유입에 대한 동력도 될 수 있고 해서 매우 좋은 바람직한 사업이라고 보는데 처음 시작하는 사업에 대해서 촘촘하게 해서 본래 취지에 맞게끔 사업 진행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예, 이상입니다.

다. 보건행정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34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3페이지에 보시면 24년도 1차년도 생명사랑 생명존중 109! 조성 사업 핵심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이게 자살예방 상담전화가 109잖아요.

임정열 의원 여기 보면 109라는 뜻이 한 명의 생명도 1, 자살 제로 0, 구하자 해서 9가 109잖아요.

임정열 의원 우리 진천 이 사업이 자살 고위험군 예방이라든지 그거를 위한 사업인데 지금 우리 진천군에서 지역 내에 자살예방, 고위험군이 있다고 했을 때 정신과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잖아요. 그런데 이런 거를 정기적으로 정신과 의사들한테 무료상담 같은 건 좀 하고 있나요?

임정열 의원 왜냐하면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누군가하고 상담을 받고 싶은데 정신과 전문의를 통해서 전화가 됐든 어떤 상담을 받다 보면 그 사람들 심리적인 안정도 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보거든요. 이런 부분들을 여기에서 자살예방하고, 며칠 전에도 그런 사례가 있었는데 우리 관내에 우리가 파악되지 않은 고위험군이 많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런 분들이 진짜 자기가 어려울 때 내가 찾아가서 이런 상담을 통해서 다시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는 그런 체계가 필요하다고 보니까 이런 부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신경 써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예,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