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이강선
  • 보건행정과장 김순희
  • 윤대영 위원
  • 김성우 위원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농업정책과장 강상훈
  • 임정열 위원
  • 성한경 위원
  • 김기복 위원
  • 농업기술센터소장 남기순
  • 농촌지원과장 박종춘
  • 이재명 위원
  • 기술보급과장 김동희
  • 축산유통과장 이호준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3)농업정책과소관 예산심사

(10시17분)

성한경 위원 성한경 위원입니다.

348페이지에 보시면 농촌유휴시설활용 창업지원사업 있죠?

성한경 위원 이게 구)농기계임대사업장 활용해 가지고 1층 리모델링과 주차장 조성 등을 하시는 사업인 거죠?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게 진행이 되고 나면 그다음에는 어떻게 운영하실 생각이신지? 이게 청년이나 귀농귀촌하시는 분들 위해서 쓰시려고 하시는 거죠?

성한경 위원 아, 신청을 이미 받으셨는데?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분들이 선정돼서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구체적으로 우리는 어떤 지원을 하게 되나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여기서 이분들이 음식 개발을 한다든지 그 사업을 진행하실 때 우리 농산물이 그러면 활용되는 거예요?

성한경 위원 아, 쌀로 만든 가공식품이요?

성한경 위원 알겠습니다. 이런 사업은 좀 세심하게 해서 하시면 창업하시는 분들한테도 도움이 되고 또 우리 농가에도 도움이 되는 사업이니까 계획대로 잘 진행하셔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 잘 키워 주셨으면 하는 부탁 좀 드리겠고요.

그다음에 350페이지 보시면 「농촌공간재구조화법」 기본계획 수립용역비 1억 계상하신 게 있는데 이게 신규 법률 시행에 따라서 하게 된 용역비를 세우신 거지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 용역이 발주가 돼서 마치고 나면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이 진행되는 건가요?

성한경 위원 그럼 8개 지정된 그거에 따라서 그거에 포켓에 맞는 어떤 사업을 진행하시겠네요?

성한경 위원 그러면 이것 좀 제가 처음 신규로 보는 거라서 자세한 자료 좀 저한테 보내주실 수 있으실까요?

성한경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6)축산유통과소관 예산심사

(11시14분)

성한경 위원 성한경 위원입니다.

386페이지에 어업인 공동 치어생산 지원사업에 700만 원 계상하셨는데 이게 초평 거기에 지원해 주시는 건가요?

성한경 위원 지난번에 거기 1,000만 원 정도 말씀하셨는데 700이면 되는 건가요?

성한경 위원 아, 그래서 절충하신 게 700이에요?

성한경 위원 알겠습니다. 그리고 391페이지에 보시면 농산물 공동선별비 지원하고 그 바로 밑에 보면 소규모 농산물유통시설 지원사업에 원래는 2,500 처음에 하셨다가 3,000을 증액해서 5,500을 계상하셨네요? 이거 구체적으로 사업 설명하고 어디에 어떻게 지원이 되는지 한번 말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게 사실 그동안 지원한지가 한참 됐잖아요, 3평짜리 냉장고가?

성한경 위원 그런데 사실 3평은 냉기 순환이 빨리빨리 안 돼서 과일 같은 거 저장하는 데는 부적합해요, 실질적으로. 그래서 가정용 냉장고처럼 쓴다는 얘기도 많았고, “왜 누구는 주고 나는 안 주냐?” 이렇게 해서 이장 회의할 때도 엄청 싸우는 사업이에요, 이게. 서로 “왜 우리 마을에는 안 되고 누구네 마을에는 되냐?” 이렇게 해 갖고 이게 실효성 논란이 계속 있는 사업이거든요, 사실은. 과장님 생각은 어떠세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거를 지금은 예를 들어서 화훼 같은 경우에는 상자 재배를 하는 경우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예요. 그래서 평수를 조금 더 늘려서 실질적인 지원을 해 주면 어떨까 저는 평소에 그런 생각을 많이 했거든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이게 단체로 할 때는 시설이 커서 좋은데 단점이 뭐냐 하면 소규모로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거기를 갔다 왔다 하는 이동거리면, 이게 갔다 왔다 하다 보면 일의 능률이 확 떨어지거든요. 일이라는 게 연계성을 가지고 쭉 해야지 작업 능률이 오르는 거지 중간에 갔다 넣고 와서 또 하고 이렇게 하면 사실 작업 능률이 엄청 저하되거든요. 그래서 이런 게 실질적으로 농가에 혜택이 되고 실질적인 지원이 될 수 있는 이런 거를, 조금 더 현장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을까 저는 그런 생각을 하고 이 3평은 사실 모든 농산물을 저장하기에 너무 적어요. 그래서 실제로 농업인들이 원하고 진짜로 농업인들한테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혜택을 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평소에 많이 해서, 과장님 이하 팀장님들도 다 계시니까 이런 것 좀 같이들 논의해 보셔가지고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걸 해 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성한경 위원 그리고 이게 커질수록 냉기 순환이 빨리빨리 돼서 훨씬 빨리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고 저장성도 좋아져요. 예를 들어서 0도를 똑같이 맞춰놔도 30평이 0도 맞추면 사실 10분 정도면 금방 떨어져요. 그런데 3평은 두세 시간 돌려야 0도 떨어집니다. 그래서 현실성 있는 이런 정책을 해 주셨으면 어떨까 하는 건의 좀 드립니다.

성한경 위원 네,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