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이강선
  • 보건행정과장 김순희
  • 윤대영 위원
  • 김성우 위원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농업정책과장 강상훈
  • 임정열 위원
  • 성한경 위원
  • 김기복 위원
  • 농업기술센터소장 남기순
  • 농촌지원과장 박종춘
  • 이재명 위원
  • 기술보급과장 김동희
  • 축산유통과장 이호준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3)농업정책과소관 예산심사

(10시17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344페이지에 보시면요, 충북형 도시농부 지원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임정열 위원 지난해보다 4억 얼마가 감액이 돼서 3억 1,550만 원이 돼 있는데요, 지난해 2023년도에 사업비가 2억 2,000 정도 들어간 걸로 알고 있는데 지난해 사용 이용자가 어느 정도 됐습니까, 몇 명 정도?

임정열 위원 올해 같은 경우 이게 3억 1,550만 원이면 한 7,500명 정도가 올해 이용할 수 있는, 이게 늘어났어요?

임정열 위원 이게 지금 4시간에 6만 원을 받는 거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래서 우리가 자부담이 40%고 보조가 60%고. 여기에 교통비, 상해보험은 별도로 들어가는 거죠?

임정열 위원 이게 문제점이라고 약간 시정돼야 될 부분이 뭐냐 하면 계절근로자가, 지금 우리가 최저임금이 9,860원이에요. 그런데 여기 지금 현재 우리 도시농부가 완전히 초보 농부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래서 제한적인 농업에만 투입이 되는 상황인데 이걸 시간을 보면 1만 5,000원 정도 되는 상황이에요, 시간당?

임정열 위원 그래서 이걸 지금 우리 농업인들께서는 사실은 이 제도가 현장에 인건비 상승 요인이 생기고 있다, 발생이. 그런 부분에 대해서 좀 지적이 있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그런데 왜냐하면 이게 지금 현장에서 하우스 농가들 얘기 들어보면 계절근로자들 거의 9,860원인 1만 원 단위로 주는데 이거랑 비교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게 지금 도시농부 이용하는데 농가에서 횟수 제한은 없는 거죠?

임정열 위원 그러다 보니까 그 농가 이걸 이용하시는 분들 자기부담금이 2만 4,000원이잖아요?

임정열 위원 자부담이 3만 6,000원이 되는 거고?

임정열 위원 그러다 보니까 그 인건비를 지급하더라도 본인이 편하게 하는 그런 경향도 있어서. 그리고 문제가 뭐냐 하면 도시농부들이 초보 농부다 보니까 교육에 대해서 현장에 투입할 때 교육을 좀 시켜서 현장에서, 이론적인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농가별로 농사짓는 여러 가지 방법이나 형태가 다르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래서 거기에서 교육을 통해서 이게 원래 취지는 좋은 취지인데 그 취지를 살려서 우리 농업에 진짜 일손이 부족한 농업인들한테 혜택이 가려고 하면 조금은 이게 보완이 돼서 실시가 되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예산이 원래 군 예산 70%가 들어가는 거예요.

임정열 위원 도비가 30%이고. 그러면서 우리 군에서 주도하는 사업인데, 그리고 이용자 횟수 제한을 둬서 올해 7,500명 정도를 우리가 도시농부 계획을 뒀잖아요. 지난번보다 거의 한 3,500명이 늘어나는 상황인데, 그런 수요조사를 해서 실질적으로 지금 농업에 일손이 부족한 데가 많이 있는데 이 제도를 잘 살려서 농업인들이 골고루 혜택을 볼 수 있게끔 그런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임정열 위원 예,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4)농촌지원과소관 예산심사

(10시42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한 가지 질의하겠습니다. 361페이지 보시면 요, 과장님. 귀농귀촌 희망둥지 만들기 사업이 있어요. 이게 사업비가 6,000인데 전액 삭감이 됐습니다. 이 사업 설명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삭감된 사항에 대해서.

임정열 위원 과장님, 이게 지금 우리 진천군에서 홍보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청자가 없었다는 거예요?

임정열 위원 이것도 7 대 3 매칭사업으로 하는 거예요? 도비 1,800 하고 군비 4,200 들어가는데. 이 사업이 보면 타 시군 보은군이라든지 괴산군 같은 경우는 그래도 수요가 좀 나와서 이 사업을 지금 하고 있더라고요. 그런데 우리 과장님 말씀하신 대로 이게 사실은 귀농귀촌인들한테 빈집을 환원해서 정착할 수 있는 그런, 어떻게 보면 좋은 취지가 될 수 있는데 이게 우리 진천군에서도 첫 번째 시행이 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홍보를 더 적극적으로 해서, 왜냐하면 여기에서 또 어떤 대상 후보자도 있을 것 같고 해서 올해는 이렇게 반납을 하지만 내년도에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이 사업이 가능해서 귀농귀촌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