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이강선
  • 환경에너지과장 주선희
  • 임정열 위원
  • 김기복 위원
  • 윤대영 위원
  • 이재명 위원
  • 식산업자원과장 박영자
  • 체육진흥지원단소장 임병곤
  • 통합일자리지원단소장 이세웅
  • 성한경 위원
  • 평생학습센터소장 서상석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1)환경에너지과소관 예산심사

(10시01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189페이지 봐 주시면요,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 야생동물 이번에 포획(고라니)보상금으로 2,500만 원 증액 계상하셨어요, 그렇죠? 500만 원이나 더 증액이 된 거, 한 마리당 5만 원씩 해서 2,500만 원 증액 계상하셨어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1년에 우리가 고라니가 몇 마리 정도 포획해요?

이재명 위원 전문 포획단 이거 직업 삼아서 하시는 분이 있더라고요, 그렇죠? 이거를. 다른 일 접어두고서 이거 전문적으로 포획해서 자기 생활비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분들이 전문교육도 포획, 수렵에 대한 교육을 받는 거지요?

이재명 위원 고라니 말고 요즘도 멧돼지 나오지 않아요? 멧돼지는 없어요?

이재명 위원 국비가 지원되고 군비가 안 들어간다고요, 멧돼지가?

이재명 위원 잡는 것도 좋지만 안전에 대한 사고가 발생되는 부분이니까 매스컴을 통해 보니까, 사람으로 오인해서 인명사고도 나고 그런 게 있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부분도 각별히 유의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193페이지 한번 봐 주시면요, 재무활동을 봤습니다, 환경에너지과에. 보전지출로 보니까, 국도비등반환금으로 보니까 생각 외로 금액이 3억 8,913만 9,000원씩이나 국도비반환금을 했어요. 이 내용을 보니까 2019년도 게,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2019년도 게 6년이나 지난 상황에서 2,462만 9,000원씩 반환되고. 21년도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사업으로 해서 2억 8,861만 원씩 반환됐는데, 이렇게 뒤늦게 반환하는 사유가 어떤 사유가 있어요?

이재명 위원 시기적으로 1, 2년이면 이해가 되는데 6년씩이나 지난 상황에서 시‧도비 보조금도 그렇고. 시기적으로 6년씩 이렇게, 상관없어요? 괜찮아요?

이재명 위원 시기에 맞춰야 되는 거라고?

이재명 위원 그런데 너무 시기적으로 반환금이라는 게 바로 그 당해 연도에 못하면 그 다음 해에 반환이 돼야 되는데 6년씩 지난 시점으로 해서 이거 반환을 한다니까 좀 약간 의아심이, 걸려서 질의해 봤습니다.

어차피 그거 갖고 있으면, 이거 반환금 우리 자체 갖고 있으면 이자 같은 게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게 우리가 자체 있어요?

이재명 위원 글쎄, 도비보조금 발생 이자까지 다 하는데 이걸 굳이 갖고 있을 필요가 없지 않나. 그래서 이런 걸 빨리 시행해서 반환할 건 반환해야지 갖고 있을 의미가 없다 싶어서 조기에 이런 것도 집행하는 게 좋지 않나 싶어서 질의해 봤습니다.

이재명 위원 이상입니다.

(2)식산업자원과소관 예산심사

(10시23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206페이지 한번 봐 주시면요, 민간위탁금 사업에서 편성을 시키는 부분에서 음식물류폐기물 공공처리시설 위탁비에서 9억 1,973만 3,000원이 현재 14.4%나 증액된 1억 3,298만 원 증액을 시켰어요. 여기에 대한 사업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재명 위원 원가산정할 때 이게 반영이 안 된 부분이라고요?

이재명 위원 됐었는데 금액이 함수율에 대비?

이재명 위원 이렇게 쓰면서 폐기물 발생량이 그러면 얼마큼 많이 줄었어요? 사람들이, 발생량 어느 정도 줄어요?

이재명 위원 됐어요. 함수율이 35% 하고 10% 해서 25% 차이가 나는 건데 톱밥 함수율이, 그렇죠? 구매해서 쓰는 부분에서 35%짜리 좀 쓰다가 10%짜리 쓰시는 건데, 그런 쪽으로 합이 25%의 함수율이 차이가 난 거예요. 25% 차이가 나면서 거기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이 감소가 될 거 아니에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그래요. 지금 현재 1분기 지나서 2분기가 시작됐는데 올 금년도 예산, 다 전체 예산이에요, 그럼? 더 이상 3분기나 4분기 때 더 필요한 예산 아니에요? 이게 1억 3,200만 원이 금년 연말까지 쓰는 예산이에요? 증액시키면.

이재명 위원 9개월분만 하신 거라고요?

이재명 위원 3개월분이 더 나머지 추경에 또 반영돼야 된다는 얘기네요?

이재명 위원 효율적인 처리로 해서 주민 불편이 이걸 하면서 깨끗한 환경을 조성한다고 그러시는데 환경이라는 게 악취 쪽에는 많이 발생되나요? 주변 환경 쪽에는 악취나 발생되는 민원 쪽에는 제일 중요한 게 고속도로 지나가면서 문제가 악취가 제일 문제가, 발생 얘기가 나와요. 이런 부분에서 제일 주안점이 되는 게 협잡물이나 사용량이 줄어드는 것은 좋은데 제일 먼저 더 플러스시켜줄 게 이런 거 음식물류 하면서 분뇨처리장도 그렇지만 냄새가, 악취가 제일 민원이 발생되는 부분이에요. 이런 부분도 포함시켜서 할 때는 이런 쪽에도 더 강화를 시켜서 그런 쪽에 미생물을 발효화시키든 어떤 그런 쪽에서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봐 주시는 게 좋겠다 말씀을 드립니다.

이재명 위원 14%나 증액을 시켜줬고 3개월분이 나중에 추경에 반영되는 것만큼, 이만큼 증액시켜주는 만큼의 위탁을 제대로 좀 했으면 좋겠다. 생거진천의 이미지가 거기 지나가면서 민원이 발생되는 부분이 거기 지나갈 때 조금 지나면 체리부로가 있지, 농다리 주변 지나가면서, 과장님도 지나다녀 보면 아시잖아요. 냄새가 생거진천의 이미지를 갖다가 지나가는 사람들이 상당히 이미지를 안 좋게 보고 있어요. 이런 부분 우리 공공시설인 만큼 더 심혈을 기울여 주시면 좋겠다 부탁의 말씀드려봅니다.

이재명 위원 이상입니다.

(3)체육진흥지원단소관 예산심사

(10시41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동료위원이 질의한 부분에서 추가로 한번 질의해 볼게요. 매년마다 본 위원이 질의했던 부분인데 단장님 이하 직원분들의 노고에, 도민체전 준비에 최선을 다해 주셔서 감사드리면서, 415페이지에 봐 주시면 이걸 위탁을 주신다 그래서 1억 5,770만 원을 증액해서, 그렇죠? 415페이지 물놀이장.

이재명 위원 이 부분에서 본 위원이 좀 안타까운 부분이, 맞아요. 직원분들이 관리 운영하기가 상당히 복잡한 부분이 매년마다 지적이 됐어요. 여러 가지에서, 힘든 여러 가지에서. 진천군의 건전한 여가생활을 위해서 상당히 군민들이 7∼8월에 기대가 되고 있는데, 지금 현재 위탁을 주시는 내용이 한 달에 월 36일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네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7∼8월 중에 36일인가요?

이재명 위원 차이가 있고. 그래서 백사천은 월요일 날 쉬고 백곡천은 화요일 날 휴장을 계획하고 계시네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작년에 운영 일수가 며칠인지 아세요? 작년에 운영 일수 며칠이에요?

이재명 위원 35일이요?

이재명 위원 35일 운영 중에서 방학 시즌에 맞춰 줬는데 많은 인원이 아까 말씀대로 단장님이 1만 6,000명 정도 왔다 갔다고 그러는데, 이게 35일 과정에서 여름철에 장마철이 꼭 와요, 그렇죠? 이 시기 때가.

이재명 위원 그 시점에서 우천이, 강우가 많이 올 경우 휴장도 해야 되고, 또 장마권이 많이 왔을 때 휴장이 되는데, 본 위원이 일정 보다 35일 운영하는 과정보다 이 짧은 운영 기간에 자체에서 운영보다는 위탁을 줬으면 가능하면 본 위원이 생각할 때 월요일하고 화요일 휴장 자체를 없애고 무조건 끝까지 계속 30일 운영하면 사업비가, 일주일에 한 번씩 쉬는 건데 안 쉬고 풀가동하면 운영비가 어느 정도 더 증액이 되나요?

이재명 위원 시설 점검은 오후 5시인가 폐장하잖아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물을 갈고, 그 시간에 충분히 시설 점검이나 폐장하고 충분하게 물 관리나,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부분인데 월요일 날이 본 위원이 말씀드리면 소상공인들이 월요일 날 휴무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런 분들이 월요일 날 쉰다 그래서 백곡천에 화요일 날 올라가면, 월요일 날 백곡천에 가면 사람이 너무 혼잡해서 그리로 갔다가 오히려 더 스트레스를 받고 온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래서 이걸 알바하는 사람들 한두 분을 더 두든지 해서 이 부분에서는 이 좋은 시설, 20억 가까운 시설 두는 데서 거기에서 운영하는 과정에서 매년 매주마다 월요일, 화요일에 쉬지 말고 풀가동해서 운영하는 시스템을 갖춰 보세요.

이재명 위원 그렇게 가야지만, 아시겠지만 소상공인들이 월요일 날 쉬는 휴장들이 많아요. 그 사람들은 갈 데가 없어요. 그 얘기가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또 화요일 날 쉬는 데보다는 월요일 날 쉬는 데가 많아서 자기들도 월요일 날 가족들하고 가 주고 싶다, 그런데 월요일 날 폐장을 하니까 이런 부분도 가능하면 큰 운영비가 증액이 안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런 부분은 풀가동했으면 좋겠다 부탁의 말씀을 드려봅니다.

이재명 위원 예, 또 하나는 418페이지 우리가 도민체육대회 추진을 잘하고 계세요. 도비, 군비해서 우리가 지금 현재 418페이지 추진에 보면 14억 정도 쓰고 있는데, 우리가 지금 개회식하고 폐회식에 들어가는 비용 예산이 11억 정도 들어가나요?

이재명 위원 9억?

이재명 위원 아쉬운 부분이 생거진천문화축제 예산보다 더 많은 금액이에요, 그렇죠? 이게 돈이.

이재명 위원 그에 비해서 우리가 17년 만에 도민체전도 운영하고 그런 부분도 좋은데 타 도민체전보다 메가적으로, 차별화시키려고 메가 이벤트 여러 가지 실시하는 것은 참 좋아요, 보기 좋더라고요. 고액 예산에 비해서 여러 가지 얘기가 나온 부분이 9억 원의 입찰 금액이 나왔다는 얘기죠, 그렇죠? 거기에 비해서 고액 예산 대비 인기가수 같은 오는 사람들이 좀 아쉽다 그런 얘기가 나오는데 단장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재명 위원 글쎄, 메가 이벤트로 상당히 좋더라고요. 이 부분에서 도민체전 최초로 공군 블랙이글스 공연도 이렇게, 에어쇼가 출격하는 것도 좋고 국가대표 사인회 같은 것도 얘기해서 상당히 아이템이 좋더라고요.

그런데 또 하나의 민원이 발생되는 부분이 공군 블랙이글스가 이번에 한번 사전 예행연습했죠?

이재명 위원 군민들이 어느 날 저한테 전화하기를 무슨 전쟁 났는 줄 알고, 그런 부분이 군민들한테 홍보가 됐어야 되는데 군민들이 갑자기 무슨 일이냐고 전화를 받은 적도 있고. 그것 좀 어느 정도 사전에 이장단을 통하든지 해서 마을 방송을 통해서 그런 쪽에 사전 예행연습이다 그런 것을 해 줬으면 불안감이 안 들었을 텐데, 그런 것을 미리 그런 데로 해서 안 하는 게 아쉽지 않았나?

이재명 위원 예, 상당히 어려운 성상에 쉽게 볼 수 있는 에어쇼가 아니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오시는 분들이 메가 이벤트 급에 맞는 시설을 준비하는 부분에서 상당히 고맙다고 수고에 찬사를 드리겠습니다. 하여튼 만전에, 그러면서 또 안전에도 같이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