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의장 장동현
  • 안전총괄과장 김의년
  • 임정열 의원
  • 산림녹지과장 김종덕
  • 이강선 의원
  • 윤대영 의원
  • 이재명 의원
  • 김기복 의원
  • 김성우 의원
  • 건설교통과장 최영훈
  • 성한경 의원
  • 지역개발과장 연성훈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안전총괄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00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일상이 안전한 안심도시 구현! 안전을 문 앞에 실현을 위해 노력해 주시는 김의년 안전총괄과장님 이하 직원분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를 드리면서, 211페이지 신규사업 중에 ‘재난 N 다있오! 재난안전 구호함 설치’ 사업이 있습니다, 과장님.

이게 지금 사업 예산이 1,000만 원이고 사업 위치를 3개 장소로 보고 있는데, 우리 군민들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위급상황 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끔 이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이 사업을 하고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여기 지금 사업 위치로 볼 때 대규모 인파밀집장소 3개소라고 했는데 3개소는 어디로 보고 있습니까?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그런 곳에 해야 되는데.

임정열 의원 농다리 쪽은 해당이 안 되나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지금 여기 재난안전 구호함에 사용법 교육도 있고 있는데 홍보, 사용법 교육이라든지 홍보는 어떤 식으로 지금 할 예정입니까?

임정열 의원 왜 제가 이런 질문을 드리냐면 저도 구호함이 만약에 있다고 해도 그 사용법을 몰라서 사실 이게 일반인들이 그거를 만약 그런 상황이 발생됐을 때도 사실은 교육이 되어 있지 않으면 구호함이 있어도 사용을 못하는 그런 경우가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 교육에 대한 거를 좀 더 강화를 해 주시고. 또 우리가 지금 3군데 말씀해 주셨잖아요. 거기에 대한 홍보도 군민들이 ‘아, 거기에는 이런 구호함이 있기 때문에 위급사항 발생 시에는 이거 우리가 사용을 하겠다’라는 그런 경각심도 주고 그 위치도 알 수 있게끔 그렇게 좀 해 주시고.

그리고 20개 중에서 심정지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잖아요. 그렇다 보면 여기 20개 중에서 혹시 수동식 심폐소생기도 포함이 되어 있나요?

임정열 의원 계획되어 있어요?

임정열 의원 왜냐하면 우리가 심정지 환자가 발생이 됐을 때는 4분이 최후의 저기거든요, 이 시간이 골든타임이기 때문에 그거를 설치가 돼서 여기 취지에 맞게끔 그렇게 좀 해 주시고. 이게 현재 포함이 안 되어 있는 건가요, 그러면?

임정열 의원 20개에 포함이 되어 있는 거예요?

임정열 의원 그렇게 잘 해서 이게 설치가 중요한 게 아니라 교육하고 홍보가 중요하니까 거기에 걸맞게 해 주시고 그렇게 노력을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지금 심폐소생에 대해서 학교 같은 데 방문해서 많이 교육도 하고 소방대하고 협력을 해서 119에서 그걸 하고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렇게 좀 강화해 주시고. 아무튼 재난 상황에 사전에 대비해서 누구나 생명 구할 수 있는 그런 환경 조성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예, 이상입니다.

나. 건설교통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0시31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228페이지에 보시면요,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추진이 있습니다, 과장님.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임정열 의원 우리 진천군 관내 전문 건설업 등록 업체가 몇 군데 정도 되지요?

임정열 의원 여기 지금 보시면 인·허가 시부터 지역업체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하고 있는데, 진천군 관내에서 지금 현재 진행되거나 추진되는 대형 사업들 많이 있잖아요, 건설 사업들이. 예를 들어서 스마트벨리 산업단지라든지 지금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진천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또 진천초평산업단지가 대표적인 사례인데 여기에 우리 진천 건설 업체에 어떤 자재나 장비가 진천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에 지금 들어가고 있습니까?

임정열 의원 그런데 지금 우리 건설업체 같은 경우를 보면 진천군 관내에서 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그에 반해서 우리 지역에 있는 건설 업체들의 참여율이 너무 떨어지고 외부에서 들어오다 보니까 거기에 대한 소외감, 또 타 지자체 음성군 같은 경우는 인허가 시에 아주 적극적으로 권고를 해서 지역업체 장비라든지 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유도를 하고 있더라고요. 우리 진천군에서도 어차피 우리 지역 건설업이 활성화돼야지 우리 지역 경제가 도움이 되고 건설 업체들이 도산이라든지 이런 것이 없을 건데, 이런 분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서 이 사람들이 체감할 수 있게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의원 여기에 지금 현재 지역건설산업회 위원회도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거기에 우리가 자주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거기에서 나오는 건설인들의 어떤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서 그 사업에 정책을 반영할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다. 지역개발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242페이지 이월면 도시재생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이월면 도시재생사업 242페이지. 이게 총 사업비가 165억이잖아요?

임정열 의원 100억이에요?

임정열 의원 100억이 행복 나눔의 집하고 이월 마실 어울림센터 건립 등이 들어가는 건가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여기 지금 보면 행복 나눔의 집의 예산이 22억으로 알고 있는데, 건립에 대해서 그렇고, 어울림 센터는 49억 정도. 그러면 이게 한 70억 정도 되는 거잖아요?

임정열 의원 나머지 30억은 어디에 들어가는 거지요, 100억 중에서?

임정열 의원 사업이 26년인데 사업이 종료가 될 때 관리 운영 유지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 거지요?

임정열 의원 조합이 형성이 되면 그 조합에서 관리 운영을 하는 건가요, 그럼?

임정열 의원 사업계획서에서는 조합에서 아마 관리유지 운영하는 걸로 계획서는 올라와 있잖아요?

임정열 의원 그런데 만약에 수익이 발생되지 않았을 때는 또 어떤 문제점이 생길 수가 있는 거잖아요, 이게.

임정열 의원 그리고 사업이 시행도 중요한 거지만 사업 관리 유지를 어떻게 할 것이냐. 그래서 만약 그게 또 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는 우리 군에서 그게 부담이 되는 거잖아요, 이게. 과장님? 지금 읍면에 보면 이런 얘기가 많이 있잖아요. 요즘 초평도 문화센터 조성해 놓고서 자기들이 다 그쪽에서 사업할 때 관리 유지를 한다고 했는데 결과적으로 지금 하지 못해가지고 결론 그 부담은 우리 진천군으로 왔는데, 이 취지에 맞고 제가 볼 때는 이월면을 도시재생하고 발전에 기여할 수는 있겠지만 이 사업의 나중에 후에 진짜 관리 유지에 대해서 우리 군에서 적극적으로 교육도 하고 유도를 해서 처음에 그 취지에 맞게끔 사업이 진행이 될 수 있게끔 노력을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

라. 산림녹지과소관 주요업무계획 보고

(11시27분)

임정열 의원 임정열 의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드리겠습니다. 245페이지에 보시면 충북혁신도시 도시바람길숲 조성 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지금 이 사업으로 인해서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 환경, 여러 가지 도심 열섬까지도 다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인데 지금 여기 사업내용을 보면 바람생성숲 1개소, 연결숲 8.2km, 디딤·확산숲 4개소 조성이 되어 있는데요, 과장님. 바람생성숲을 보면 야간에 도심의 외곽 산림에서 신선한 공기를 생성하는 것을 바람생성숲이라고 하고, 연결숲은 외곽의 차고 신선한 공기가 도심 내부까지 이동하는 거리 연결 통로지요, 과장님. 그리고 마지막에 디딤·확산숲은 공원, 옥상녹화, 학교라든지 도심의 소규모 거점숲을 만드는 거잖아요. 그런데 여기에 지금 바람생성숲 1개소는 어디를 얘기하는 거지요?

임정열 의원 아무튼 이것이 엄청 중요한 사업이고 환경을 보전하고 여러 가지 미세먼지도 저감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혁신도시에 있는 지역주민들이 사실 이 사업에 대해서 많은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을 중점적으로 두고서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끔 설계 단계부터 그렇게 해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의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