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성우
  • 건축디자인과장 윤혜순
  • 임정열 위원
  • 김기복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이재명 위원
  • 상하수도사업소장 이경희
  • 보건행정과장 홍필표
  • 성한경 위원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기획감사실장 채정훈
  • 보건소장 박지민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 심사

1) 건축디자인과소관 예산심사

(10시01분)

윤대영 위원 윤대영 위원입니다.

우선 아름다운 진천 도시건축물 조성을 위해서 노력하고 계시는 과장님 이하 직원분들 노고에 말씀을 드리면서 2가지 정도만 질의 좀 드리겠습니다. 동료 위원님께서 불법 현수막에 대해서 질의를 하셨는데 어쨌든 불법 현수막 우리가 예산을 들여가면서 단속을 하는 이유는 도시미관에 절대적으로 안 좋기 때문에 그런 예산이 투입돼서 단속을 하는 거라고 본 위원은 생각합니다. 공감하시지요?

윤대영 위원 그런데 여기 538페이지 하단에 보면 불법 현수막 제거하는데 예산을 증액하셨지만 또 반대로 불법 현수막을 막기 위해서 현수막 지정 게시대 설치는 예산 삭감하셨어요. 예산이 지금 많이 긴축재정하기 때문에 그런 어려움은 제가 충분히 이해를 하지만, 불법 현수막 제거 하는데 예산은 또 증액되고 불법 현수막 막는 지정 게시대 설치는 또 감액이 되고. 서로 밸런스가 안 맞는 것 같고, 이치에 안 맞는 것 같고 그래서 그거에 대해서 심사숙고해 주시고요.

한 가지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공직자들부터 불법 현수막에 대해서 모범을 보여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요. 실제 우리 들어오다 보면 불법 현수막이 군청에 있지 않습니까? 일반 현수막, 불법 현수막 대부분 차지하는 게 군의 관련 단체 행사에 많이 불법 현수막 하지 않습니까? 우리 공직자들부터 먼저 솔선수범한다면 많이 해소되지 않을까. 개인 불법 현수막들은 개인의 영리를 위해서 한다는 것은 차치하고 그분들도 나름대로 과태료를 부과시켜서 그런 어떤 불법 현수막을 막는 제도가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우리 공직자들이 너무 우리 부분에 대해서는 스스로 자상한 분위기가 있지 않나. 그 부분에서 과장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윤대영 위원 우리 공직자들이 솔선수범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윤대영 위원 541쪽, 진천형 해비타트사업 4,000만 원씩 3개소, 1억 2,000 계상하셨습니다. 그 사업 설명 좀 부탁드리고요, 3개소에서 선정 기준 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윤대영 위원 그럼 3개소는 아직 그냥 선정이 안 되고?

윤대영 위원 그럼 기준이 빠르게 정리가 돼야 될 것 같은데, 이 해비타트 사업은 처음 실시하는 겁니까?

윤대영 위원 잘 알겠습니다.

한 가지만 더 질의드릴게요. 540쪽 한번 봐 주시면요, 노후단독주택지 주차장 조성사업 있지요? 그것 사업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윤대영 위원 500만 원은 그럼 철거 비용이신가요, 조성하는 거?

윤대영 위원 현재 진천읍에 미관상 보기 안 좋은 빈집이 진천읍 시내의 건만 몇 개 정도 있다고 생각되세요?

윤대영 위원 어쨌든 이 사업은 진천읍의 혁신도시도 마찬가지겠지만 주차난이 심각하잖아요. 빈집도 안 좋은 경관을 해소하는 입장에서도 좋은 사업인데 보면 주인이 반대를 하는 경우 있잖아요, 그렇죠? 이 좋은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주인이 ‘내 건물이니까, 내 재산권이니까 아무것도 건들지 마라’ 그렇게 하는 경우가 있지 않습니까, 그렇죠? 그런 부분이 많아서 애로사항이 있는 걸로 생각되는데. 전에 한번 보면 진천 시가지에 집이 거의 살 수 없는 정도로 무너져있는데 계속 이렇게 방치되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팀장님 통해서 이거를 빈집 정리 대상이면 안 보이게 현수막이나 보기 좋은 걸로 가려놓든지 그렇게 했으면 좋겠는데 계속 방치가 된다고 제가 한번 말씀을 드렸던 적이 있어요. 그랬더니 바로 빈집이 위에 지붕이나 그런 게 조정이 됐더라고요, 깨끗하게. 그래서 그런 것도 방치된 집이 많기 때문에 그러면 그냥 방치하지 말고 어쨌든 외곽에다가 보기 좋게 가림막이든 해서 빈집 정리 후보 대상이라는 조그맣게 해서 진천군에서 실시하는, 그런 것 해 놓는 것도 적극적인 행정 차원에서 괜찮은 사업이라고 생각되는데. 어쨌든 그런 부분은 건축주하고 대화가 서로 소통이 안 되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닙니까, 그렇죠? 그래서 그걸 법적인 제한 허용범위에 한해서 그걸 가려서 지나가는 분들이 미관상 좋지 않은 그런 것을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떠세요?

윤대영 위원 답변 잘 들었고요,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2) 상하수도사업소소관 예산심사

(10시33분)

윤대영 위원 윤대영 위원입니다.

진천군민에게 양질의 수돗물 공급에 노력하고 계시는 소장님 이하 공직자 여러분들 감사드리면서 한 가지만 질의드리겠습니다.

790쪽 한번 하단에 봐 주시면요, 지하수보조관측망 유지관리비 2,200만 원 신규 계상하셨습니다. 사업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윤대영 위원 우리 군에 보조관측망이 몇 개 정도나 있지요, 현재?

윤대영 위원 하나 설치하는 데 비용은 어느 정도 들어요?

윤대영 위원 30개 정도면 이게 적정 수준인가요, 더 많게 해서 설치를 해야 되나요?

윤대영 위원 지하수가 고갈된 혹시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윤대영 위원 소장님께서 조금 전에 말씀하셨다시피 보조관측망은 진천군에는 축산단지, 산업단지가 많기 때문에 지하수 오염이 상당히 될 수 있잖아요. 그거를 감시하는 체제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럼 우리 진천군에는 좀 전에 제가 말씀드렸다시피 축산단지도 많고 산업단지도 많잖아요. 그렇게 되면 더 많이 설치가 필요한 것 아닙니까?

윤대영 위원 아무래도 우려하는 부분은 불법으로 방류하는 것도 있지 않습니까, 그렇죠? 그런 것 때문에 보조관측망을 설치하는 것 아닙니까?

윤대영 위원 지하수를 방류한다는 게 아니라 어쨌든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도 막는 장치잖아요, 이게. 그러니까 산업 공장을 이끌어 가는 데 있어서 폐수 같은 거를 몰래 방류할 수 있지 않습니까. 그러다 보면 지하수가 또 오염되는 것 아니에요. 그런 걸 또 막기 위해서 이게 설치되는 것 아닙니까?

윤대영 위원 그래서 본 위원이 약간 축산단지도 진천이 많기 때문에 이렇게 지하수가 많이 오염되는 원인이 되지 않나 그런 우려가 솔직히 있어요. 그래서 이 보조관측망 설치가 조금 더 필요하지 않나 본 위원은 생각되는데, 소장님 생각은 어떠세요?

윤대영 위원 본 위원이 생각할 때 지하수는 미래 세대에 물려줄 소중한 공적자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만큼 깨끗하고 안전한 지하수 보전에 최선을 다해 주시기 부탁드리겠습니다.

윤대영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