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성우
  • 건축디자인과장 윤혜순
  • 임정열 위원
  • 김기복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이재명 위원
  • 상하수도사업소장 이경희
  • 보건행정과장 홍필표
  • 성한경 위원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기획감사실장 채정훈
  • 보건소장 박지민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 심사

1) 건축디자인과소관 예산심사

(10시01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예산 설명 잘 들었습니다. 2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538페이지 봐 주시면요, 노후 공동주택 경관개선사업 있어요, 과장님. 538. 여기 예산이 2,000만 원 감액이 돼서 7,000으로 되어 있는데 전에 보니까 이게 두 군데 시행했더라고요. 그 사업을 21년도하고 22년도, 23년도 쭉 해 오셨는데 2,000만 원이 감액됐으면 이 사업 내용은 경관개선사업 어떤 식으로 하는 거예요, 칠을 해 주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공동주택으로 해당되는 지역이 덕산하고 광혜원하고 이월, 진천 이렇게 되는 거지요? 10년 이상 되는 공동주택에.

임정열 위원 이게 차질 없이 잘 진행이 될 수 있게끔 해 주시고요. 밑에 보시면 불법 현수막 제거업무 민간위탁금이 있어요, 과장님. 2,300만 원 증액이 된 9,000만 원 됐는데, 증액이 2,300이 됐는데 증액 사유가 어떤 겁니까?

임정열 위원 추가 비용은 어떤 게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거예요?

임정열 위원 위탁 기간이 3년인가요?

임정열 위원 종전에 수거보상제로 했었잖아요, 그걸 각 읍면에서. 그래서 지역 사정을 잘 아는 주민이 직접 나서서 현수막 수거를 하고 읍사무소에다가 신청하면 군에서 집행하는 그런 제도인데 저도 지난해에도 한번 이거 관련해서 질의를 했지만 지역에서 지금 예산 대비라든지 효율적인 면에서 우리가 광고 협회에 민간위탁을 했을 때 하고 수거보상제를 실시했을 때 하고 어떤 차이점, 그리고 만약 차이가 별로 없다라고 하면 종전에 수거보상제로 실시하는 지자체도 많이 있더라고요. 그러면 덕산을 예로 들어보면 덕산을 잘 아는 지역주민이 현수막이 게시되어 있는 부분을 다 수거를 해서 또 일반 지역주민들이 다니다가 현수막을 수거해 갖고 오면 장당 2,000원씩 주고 하는 그런 제도 있었잖아요. 이거를 지금 2년 남은 거잖아요, 기간이. 그래서 이걸 보면 광고 협회에 이 사람들이 돈을 받고 걸고, 돈을 받고 치우는 거예요. 그리고 여기에 아마 고용, 2명이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2명이서 사실 7개 읍면을 다 감당한다는 게 쉽지도 않다. 그리고 예산이 9,000만 원 앞으로 더 늘어날 것 같은, 예산이 더 늘 수도 있을 것 같은 생각도 들고. 그래서 이걸 한번 실시해 보고서 종합적인 검토를 해서 수거보상제가 더 나은지 아니면 민간위탁에서 할지에 대해서를 면밀하게 검토가 필요하다. 그래서 지금 읍면의 현수막 관련해서 민원 들어온 게 상당히 많이 있어요. 둘이서 하다 보니까 업무량도 많고. 그런 부분을 잘 검토를 하셔서 실용성 있게 운영을 할 수 있게끔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그렇게 좀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이상입니다.

2) 상하수도사업소소관 예산심사

(10시33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예산안 791페이지 봐 주시면요, 연구용역비 있어요. 분뇨수집 운반 수수료 원가산정 용역, 이게 신규 계상이 됐는데 1,900만 원. 이 사업 내용 좀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용역은 분뇨 업무 정화조 오니현황하고 수집 운반 비용 같은 그런 원가 산정 그런 용역에 하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가격은 원래 군에서 결정하게 되어 있는 거지요, 이거는.

임정열 위원 가격을 정하기 전에,

임정열 위원 조례로 하려고? 수수료 운반해서 현실화를 위해서 조정을 해서 가격 산정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쓴다는 거잖아요?

임정열 위원 용역 기간은 언제쯤 했어요, 그 전에 이런 용역을?

임정열 위원 타 시군에 비해서 우리가 낮게 책정이 됐다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인근 음성군 같은 경우는 어때요, 음성군하고 비교했을 때.

임정열 위원 이거 신규로 올라와서 한번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이상입니다.

3) 보건행정과소관 예산심사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584페이지 봐 주시면요, 우리 진천군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이 있는데 진천군 자살률이 10만 명당 39.2명이고 충청북도가 30.8명입니다. 그래서 전국 자살률 26명에 비해서 우리 진천군이 자살률이 높다 보는데 다행히 우리 진천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신건강증진사업이라든지 자살예방에 대한 사업들이 다양하게 있어서 이 자리를 빌려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정신건강증진사업이 있고 자살예방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사업 내용하고, 이들의 사업 내용은 어떤 거지요?

임정열 위원 그러면 자살고위험군 발굴하고 관리는 어떻게 하지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지금 우리 진천군 자살률이 높은 상태인데 거기에 또 중장년층이 사실 제일 높잖아요?

임정열 위원 우리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그전에 메타버스 운영도 있었는데 지금 안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 사업에 대해서는?

임정열 위원 하고 있어요?

임정열 위원 그런 어떤 참여도라든지 또 이런 프로그램을 진행 후에 느껴지는 체감에 대해서는 어떻게 돼요?

임정열 위원 그런 거는 홍보를 더 강화해 주시고요. 그리고 전에 보면 찾아가는 마을상담소 운영도 했었잖아요, 지금 하고 있지요?

임정열 위원 우리 진천군 관내에 몇 개 마을이 지정돼서 운영을 합니까?

임정열 위원 거기에도 지원되는, 만약에 선정이 됐을 때 지원되는 것도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여기 지금 우리가 자살위험자 응급개입치료비 지원 있지요? 1,700만 원. 1개소로 되어 있는데 이거는 병원하고 연계가 되어 있는 건가요? 자살위험자 응급개입치료비 지원 585페이지.

임정열 위원 팀장님이 답변해 주셔도 됩니다.

임정열 위원 응급실에 갔을 때?

임정열 위원 아무튼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서 상담치료를 하면서 자살률 감소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 주시기를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4) 건강증진과소관 예산심사

(11시36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603페이지 좀 봐 주세요, 과장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사업 예외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관리사를 통해서 가정방문을 해서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지요?

임정열 위원 이게 지금 예산이 1,200에서 500이 감액돼서 700만 원이 돼 가지고 70만 원씩 10명으로 계산을 해서 700만 원 예산이 섰는데 이 사업 내용에 대한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예.

임정열 위원 글쎄, 이 사업이 어떤 확정적으로 해서 시행이 될 때 다시 예산을 수립을 해서 해도 지금 현재는 필요가 없다고 하면 유예했다가 다음에 이렇게 했을 때 검토를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그리고 다음 604페이지 보시면요, 군지역 임산부 교통비 지원에서 50만 원씩 해서 330명으로 해서 1억 6,500만 원이 섰잖아요. 군비, 이거는 원래 충청북도가 내년부터 신혼부부하고 결혼지원금하고 산부인과 없는 곳에다가 교통비 지원으로 해서 50만 원이 시책사업으로 된 건데 군비가 70%이고 도비가 30%예요. 그런데 교통비 지원에 50만 원씩 330명이잖아요, 과장님?

임정열 위원 여기가 도에서 내려올 때 도내에 분만 산부인과 없는 보은, 옥천, 영동, 증평, 괴산, 음성, 단양 이 지역이잖아요, 이게?

임정열 위원 그런데 우리 진천군은 산부인과가 있잖아요?

임정열 위원 산후조리원이 없어서?

임정열 위원 그래서 거기 숫자가 330명이더라고요. 밑에 임산부 산후조리비 지원을 보게 되면 50만 원씩 504명이에요, 내년에 사업비가. 이 사업에 대한 설명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대상자 선정이 된 거지 지급은 아직 유예가 되는 거기 때문에 아직 얼마가 될지는 모른다는 거잖아요?

임정열 위원 이런 부분은 우리가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다 보니까 출산정책에 더 강화할 필요성이 있고, 우리 진천군이 타 지역보다도 출산에 대한 정책이 많이 있잖아요. 타 시군에서는 진천군을 어떻게 보면 벤치마킹하는 그런 사례도 있기 때문에 이런 거 누락된 게 없이 촘촘하게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것을 더 적극적으로 홍보도 하고 정책을 이끌어가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