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성우
  • 안전총괄과장 안효석
  • 김기복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임정열 위원
  • 이재명 위원
  • 건설교통과장 최영훈
  • 성한경 위원
  • 지역개발과장 연성훈
  • 산림녹지과장 김종덕
  • 산림정책팀장 최두식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 심사

1) 안전총괄과소관 예산심사

(10시01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421페이지 좀 봐주실래요? 자율방범대실비지원 있잖아요, 과장님. 자율방범대 10개소로 되어 있는데 10개소하고 사업 내용이 어떤 내용이에요, 1억 380만 원이 지금 잡혀있는 건데? 자율방범대실비지원.

임정열 위원 실비는 어떤 개념이지요, 이게?

임정열 위원 지금 그럼 관내에 방범대 대원 수가 어느 정도나 되나요?

임정열 위원 과장님, 지금 우리가 23년 4월 27일 날 봉사단체에서 법정단체로 바뀌었잖아요, 우리 방범대가. 여러 가지 달라지는 제도가 많이 있는데 아마 제복도 지금 바뀌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그 방범대원들. 여기 지금 보니까 그런 예산이 없어서 그거를 2024년도에는 제복을 바꾸게 되면 예산의 수립이 되어야 되는데 예산이 빠져있는 것 같아서.

임정열 위원 그것도 아마 꽤 비싸잖아요, 상하복으로 하게 되면 예산이 좀 많이 들어갈 건데.

임정열 위원 예,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

4) 산림녹지과소관 예산심사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두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499페이지 보시면요, 산불감시초소근무자 인건비가 있어요, 과장님. 여기 지금 5명이 돼 있는데 우리 관내에 산불감시초소가 다섯 군데가 있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이분들이 지금 5명이잖아요, 그러면 근무는 산불감시원 중에서 이걸 하는 건가, 아니면 별도로 고용을 해서 운영하는 건지?

임정열 위원 그리고 거기 감시초소가 개선을 좀 해야 된다는 그런 얘기도 있는데 열악하다고 그래서, 특히 겨울철에 올라가서 근무하기가 춥고 그런 부분이 있어서 혹시 과장님, 그런 얘기 못 들었어요?

임정열 위원 예, 거기가 좀 위험하고 그래서 그런 부분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씀들을 하시더라고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산불방지 포상금 읍면시상이 있어요. 최우수상 50만 원 1개 읍면이고 우수상 30만 원 2개 읍면 했는데 그럼 최우수상, 우수상 선정은 어떤 기준으로 해서 산불 횟수에 따라서 그게 선정이 되는 건지?

임정열 위원 마지막으로 504페이지 보시면요, 주택용 목재 펠릿보일러가 있어요, 과장님. 여기 지금 364만 원씩 16대 해서 5,800만 원 정도 됐는데 이게 자부담이 있고 보조가 있잖아요. 제가 알기로는 보조가 한 70% 되고 자부담이 30% 발생 아닌가요? 504페이지, 주택용 목재 펠릿보일러.

임정열 위원 그런데 이게 원래 탄소가스 절감도 하고 미세먼지 방지를 위해서 이렇게 일환 사업인데 이게 문제가 뭐냐 하면 전국에 펠릿 하는 데가 한 20군데가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폐업률도 좀 있어서 한번 7개, 8개가 폐업이 되는데 우리 국내에서 펠릿 사용하는 예측량을 보면 한 2만 3,000톤이 되는데 지금 생산이나 수입하는 데서 들어오는 게 1만 8,000톤 정도 들어오다 보니까 한 5,000톤 정도가 부족한 상황이에요. 그래서 겨울철에 난방에서 펠릿을 구하지 못해서 여기도 인근에 보면 괴산이 있고 초평에도 펠릿이 있는데 초평은 산업용이잖아요, 과장님. 그러다 보니까 초평에서 SY에너지에서도 공급이 안 되다 보니까 좋은 취지에서 하는 사업인데 정작 펠릿을 구하지 못하다 보니까 그런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가 되고 있어요. 과장님도 이 내용을 아시지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지금 이게 지난번 뉴스를 한 번 접한 게 있었는데 우리가 숲에서 수종 갱신되는 거라든지 간벌해서 나오는 목재가 있잖아요, 나무. 그런 부분들을 지난번에 소방대하고 어떤 연관해서 관련해 가지고, 협조해 가지고 거기에서 나오는 그런 목재 나무를 산에서 그냥 두다 보면 산불 시에 그게 어떤 화재 때 불쏘시개 역할이 된다 그래서 소방서하고 산림녹지과 부분에서 그 나무를 취약계층에 갖다 줘서 연료로 쓰는 특이한 저기가 있더라고요, 사례가. 우리 진천군에서도 그런 예가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아무튼 말씀 잘해 주셨는데 우리 산림청에서 시행하는 산림에너지자립마을이라고 있잖아요. 우리 진천군에서 이런 거를, 지금 괴산에서 이런 거를 시행하고 있는 것 같더라고요, 몇 군데 마을에서는. 우리 진천에서도 이런 거를 시행하고 있나요?

임정열 위원 아무튼 이 사업이 중요한 사업이기도 하지만 이게 본래 연료 때문에 주 이용하시는 분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