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성우
  • 행정지원과장 남은숙
  • 임정열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김기복 위원
  • 이재명 위원
  • 성한경 위원
  • 주민복지과장 정덕희
  • 희망복지지원팀장 정석철
  • 회계과장 이동제
  • 복지행정국장 송석호
  • 지적재조사팀장 박병국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1) 행정지원과소관 예산심사

(10시02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예산안 87페이지 보시면요, 자원봉사센터 봉사활동 지원사업이 있어요, 과장님. 그런데 이게 지난번 8,400에서 1,000만 원 감액이 됐는데 감액된 사유가 있나요? 87페이지.

임정열 위원 우리 군비는 변동이 없는 거지요, 그럼?

임정열 위원 이게 원래 여기 인원이 거의 한 4,600명의 활동 인원이 있고 연인원을 보면 한 4만 2,000명이 되는데 여기에 어떻게 보면 봉사활동 지원사업비에 다 포함되어 있잖아요, 모든 사업비가. 역량 강화 사업비로는. 그런 부분을 1,000만 원이 깎인 게 좀 그래서 질의드렸고, 여기 자원봉사센터에서 물품 보관장소가 없는 것 같아요. 아시지요, 과장님?

임정열 위원 그래서 지금 그 부분 때문에 봉사자들이 장소가 없다 보니까 불편한 게 많이 있어서 마을 창고 같은 데 보셔 가지고, 봉사하는 사람들이 불편함이 없어야 되잖아요, 사실은. 그런 부분을 과장님께서 살펴봐 주시고.

그다음 장 넘기면 88페이지에 자문위원 통일역량강화 워크숍 600만 원 있잖아요, 과장님. 민주평화통일협의회운영비에서, 88페이지. 지금 그러면 통일역량강화 워크숍은 연수 일이 어느 정도 지금 잡혀 있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내년 3월?

임정열 위원 매년. 그 전에는 한번 2017년도 이상설 생가에서 러시아를 갔다 온 적 있었잖아요? 민족통일 여기에서.

임정열 위원 그런 부분도 우리 자문위원님들 의견 좀 들어서 했으면 좋겠고. 그리고 여기 북한이탈주민초청 통일간담회가 있고, 평화공감 강연회가 110만 원, 120만 원 되어 있는데 이 사업내용이 어떤 내용이에요? 북한이탈주민초청 간담회가 이탈 새터민 대상으로 하는 강연인가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그 밑에 있는 평화공감 강연회는 같은 내용이에요, 이것도?

임정열 위원 우리 군, 그러니까 북한이탈주민이 아니라 군민 대상으로 하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여기 93페이지 보시면 진천 주민자치한마당 행사가 있어요. 읍면 노래자랑 2,500만 원 해서, 그리고 또 주민자치 행사가 700이 있는데 2,500만 원이 읍면으로 보면 노래자랑을 하게 되면 이쪽에 350만 원 지원이 되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그런데 이게 주민총회 지난번에 계속 7개 읍면을 저도 다 봤는데 주민총회를 하는 날이잖아요? 그동안에 실시했던 프로그램 발표도 하고 주민총회도 하고 사업제안 설명도 하는 그런 자리인데, 이게 노래자랑으로 가다 보니까 이 사업 본질이 많이 훼손이 된 게 아닌가. 그리고 350만 원, 500만 원 지원되는 게 문제가 아니라 거기 노래자랑에 상금도 들어가야 되고 경품도 많이 들어가다 보니까 이거 지금 주관하는 그 단체에서는 사실 엄청 부담스러워하고 있고, 본질에서 너무 벗어나 있다 이게. 그러면 주민총회 프로그램도 그냥 형식적이 되고 총회도 형식이 되고. 본 주제가 노래자랑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이것도 제가 읍면 주민자치위원님들한테 물어보면 노래자랑을 하지 않으면 350인가 500이 지원이 안 되니까 이거 어쩔 수 없이 해야 된다, 초대가수도 초청해서 500만 원씩, 300만 원씩, 200만 원씩 나가고 하니까 이런 문제는 좀 심사숙고해서 본래의 주민총회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주민총회가 어떻게 보면 중요한 사업인데 1년 동안 주민자치회를 운영을 하면서 지역주민들한테 1년 동안 면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를 거기에서 총회로 해서 결정하는 날인데 이거를 노래자랑으로 가다 보니까 사람 동원하는 데 있어서는 필요한 요소가 되겠지만 사람 동원해 가지고 그게 원래 취지에서 벗어나서 가면 남는 게 없잖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을 살펴봐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2) 주민복지과소관 예산심사

(10시40분)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먼저 질의에 앞서서 오늘 보건복지부 주관 2023년도 지역사회통합돌봄평가 대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를 드리겠습니다. 한 가지만 질의하겠습니다. 121페이지 보시면요, 고독사 없는 생거진천 안부확인 서비스 이용료 유지비 3,000만 원이 잡혀 있어요. 이 사업 내용이 어떤 거지요?

임정열 위원 유무선?

임정열 위원 지난해 처음 한 번 시행을 해 본 사업인가요?

임정열 위원 그럼 그때 어떤, 이 사업으로 인해서 어떤 발생됐던 사건이 없나요?

임정열 위원 그럼 이게 KT나 SKT에서 계약을 해서 핸드폰 사용 이력 추적을 해서 사업이 진행이 되는데, 이게 보면 사용료가 2,200원이잖아요? 12개월 해서 1,000명이 묶어지는 거지요, 이게? 그렇게 해서 이게 2,640이 1,000명 단위지요?

임정열 위원 1,000명에 기본료가 2,640이 들어가고 1,000명 단위로 해서. 만약에 2,000명으로 했을 때는 한 5,000 얼마가 들어가는 거지요. 여기 지금 유지관리비가 30만 원에 360만 원으로 되어 있잖아요, 월 30만 원씩 해서. 유지관리비라 하면 지금 프로그램 업그레이드하는 프로그램 조정하는 그런 유지관리로 맡기는 건가요?

임정열 위원 그럼 이거 KT통신사에서 직접 관리를 하는 건지 아니면 통신사에서 어떤 업체에다 위탁해서 이 관리 운영을 하는 건가요, 그러면?

임정열 위원 업체가 있어요?

임정열 위원 그리고 그 밑에 보시면 고독사예방 생활지원사업 있잖아요. 50만 원씩 20명이 지원되는데 이게 사업대상 수혜자 선정은 20명을 어떻게 하는 거지요?

임정열 위원 청소비로만 가는 건가 그러면?

임정열 위원 그 50만 원이 특수청소비라고 보면 되겠네요?

임정열 위원 청소용역업체한테 나가는 거지요? 이 돈이 그러면.

임정열 위원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