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이재명
  • 임정열 위원
  • 안전총괄과장 안효석
  • 농업정책과장 강상훈
  • 식산업자원과장 박영자
  • 이강선 위원
  • 문화관광과장 박근환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1. 건설사업추진 현황 보고(계속)

임정열 위원 임정열 위원입니다.

안전총괄과 양화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관련해서 몇 가지 질문드리겠습니다.

지난번에는 현장 방문했을 때 제가 말씀을 드렸지만 종합 종점부 부분에 유휴지가 있잖아요, 과장님. 종점 부분에 유휴지.

임정열 위원 거기에서 지역주민들 쉼터라든지 공간을 활용할 그 어떤 대책이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그리고 그게 제방 사업이 완료됐을 때 제방이 한 3km 정도, 양방 하면 6km 정도 되잖아요?

임정열 위원 그래서 이걸 산림녹지과하고 아마 이팝나무를 조성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우리 과장님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 있습니까?

임정열 위원 아무튼 이 사업으로 인해서 지난번에 호우가 많이 왔는데도 불구하고 그 피해가 없어서 그 지역주민들께서 고맙다는 말씀을 또 전해 달라고 하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감사했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아무튼 이 사업들이 차질 없이 잘 진행이 돼서 본래 목적에 따라서 재해예방이라든가 그런 데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이상입니다.

(마이크 켜고 이야기하는 위원 있음)

임정열 위원 한 가지만 더.

농업정책과 강상훈 과장님한테 질의하겠습니다. 경영실습임대농장조성 있잖아요. 이게 임차대상 기준을 어떻게 지금 하고 있습니까? 이거는 타 지역 보니까 만 18세 이상 40세 미만 이렇게 되어 있는데 우리 진천군도 그런 쪽으로 같이 가는 건지?

임정열 위원 이게 임대료가 아까 팀장님이 설명을 하셨는데 30만 원이라 그랬잖아요.

임정열 위원 지금 보면 경주시 같은 경우는 임대료가 121만 원이고 우리 충북에 영동군은 100만 원이에요. 그리고 창원시 같은 경우는 주변 시세에 50%. 그런데 이게 30만 원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정하신 건지 답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그리고 이게 임대 농장에서 거기에 2명을 하는 건가요, 3명을 하는 건가요? 임대를.

임정열 위원 혹시 임대를 농장이 2개라 그랬잖아요. 한 농장에 만약에 공동 임대를 희망하는 경우도 있을 거라고 보는데 만약에 1인한테 한 동을 주는 게 아니라 한 동에 2인이 한번 해 보겠다 그렇게 또 희망하는 사람도 있을 거라고 보는데, 여기에 대한 어떤 진천군에서는 대책이 있습니까? 그런 게 됐을 때.

임정열 위원 이건 왜냐하면 어떤 수입을 증대시키는 것보다도 영농경험이 전혀 없는 청년들에게 경영 실습을 통해서 경험과 노하우를 쌓을 수 있는 그런 현장이잖아요.

임정열 위원 우리가 수입을 2,000이다 3,000이다 보는 게 아니라. 그렇기 때문에 이거는 내가 직접 투자하지 않고 어떤 경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인데 과장님 2,000만 원, 3,000만 원 그 말씀하시는 게 아니라 수입과는 관계없이 경험을 토대로 하는 거기 때문에 그거는 큰 문제가 될 거라고 보진 않고. 그래서 혹시 혼자 하는 것보다는 둘이서 들어오는 경우도 아마 있을 거라고 저는 생각을 해서 오히려 그렇게 우리 군 입장에서는 더 좋지 않냐 하는 그런 생각을 해서 그런 부분도 한번 검토를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임정열 위원 박영자 과장님, 우리 재활용 선별시설 있잖아요?

임정열 위원 이게 그날 우리가 방문했을 때 선별장 시설도 둘러봤는데 사실 엄청 열악한 환경에서 근로자들 일을 하는 것을 보고서, 그리고 거기 선별장에 보면 환풍기가 2개가 있더라고요. 2개로 거기서 나오는 먼지 같은 것을 다 커버가 될 수 있나 하는 그런 걱정이 돼서. 제가 또 그쪽에서 근로하시는 분들 이야기, 애로사항을 들어 보니까 그런 문제를 또 지적하는 분들이 많이 있어서 사실 집에 들어가면 목이 아프다 그럴 정도로 해서 환기구를 좀 더 늘려야 되는 게 아닌가 하나라도, 그거를 한번 검토를 해 주시고.

그리고 우리 창우에서 위탁을 하고 있는데 근로자들 처우개선 환경개선, 근무환경개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위탁업체 창우만 볼 게 아니라 그쪽 집행부에서 근로자들하고 한번 간담회를 통해서 어떤 애로 사항 같은 것 들어서 거기 운영에 반영을 해서 이게 또 중대재해법에 걸릴 수도 있잖아요, 만약에 무슨 사고가 있을 때. 그런 거를 전 필요하다고 보는데 우리 과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

임정열 위원 선별률을 지난번 과장님께서 63%는 말씀을 해 주셨는데 선별률을 높일 수 있는 그런 방법을 찾아보셔야 될 것 같아요.

임정열 위원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