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성한경
  • 보건행정과장 홍필표
  • 임정열 위원
  • 이강선 위원
  • 윤대영 위원
  • 이재명 위원
  • 건강증진과장 최성현
  • 농업정책과장 강상훈
  • 김기복 위원
  • 농촌지원과장 강태식
  • 기술보급과장 남기순
  • 축산유통과장 이화섭
  • 농업기술센터소장 서정배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예산안심사

(1)보건행정과소관 예산심사

(10시02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330페이지를 봐주시면요, 보건의 날 체육대회에 대해서. 국민 보건의식을 향상시키고 보건 의료 및 복지 분야의 종사자들을 격려하기 위해서 제정한 국가 기념일인 보건의 날 행사가 4월 7일이었는데 행사 참여가 300만 원 사업비 기정액 세워 놓으셨다가 감액 계상하셨는데 행사 참여를 왜 안 하셨어요?

이재명 위원 진천이 주관할, 충청북도 전체적으로 다 하잖아요, 그렇지요?

이재명 위원 진천이 주관할 때가 되지 않았나요?

이재명 위원 1년에, 국가에서 제정한 기념일인데 이 행사가 이런 것만큼은 해서 격년제로 하는 것도 아니고 이거는 꼭 해서 챙겨서 우리 종사자들한테 1년에 한 번뿐인 행사로 해서 참석해서 격려도 해 주시고. 이런 행사 같은 거는 가능하면 도에다 적극적으로 건의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진천에서 주관할 때도 예산을 많이 올려 줘서 진천에서 행사를 푸짐하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이상입니다.

(2)건강증진과소관 예산심사

(10시21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345페이지 봐주시면요, 모자보건사업 행사 운영 세부사업이 있어요. 홍보물 제작 구입비는 이해되는데 임산부의 날 행사운영비를 400만 원 계상했다가 예산을 100만 원 감액 계상하셨어요. 감액 계상한 이유가 어디 있어요?

이재명 위원 10월 10일은 임산부가 1010배 축복받는 날로 해서, 그렇죠?

이재명 위원 10월 10일 정한 이유가 보니까 풍요와 수확을 상징하는 10월하고 임신기간 10개월을 의미해서 10월 10일로 정했지요?

이재명 위원 요즘은 임산부에 대해 낳으면 유공자급으로 대우를 받는 시대를 맞이했는데 이런 부분을 앞으로 예산을 갖다 해서 통계목 변경보다는 증액을 해서 10월 이런 기념일만큼은 축복받는 날로 해서 임신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통해서 저출산을 극복하고 임산부를 배려하고 보호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법정기념일로 제정한 걸로 알고 있어요. 그렇지요?

이재명 위원 이런 부분만큼은 통계목 변경이 아니라 임산부의 날 행사를 좀 더 다채롭게 행사를 기하기 위해서 예산을 과감하게 증액해서 할 수 있는 부분을 임산부한테 이런 분위기를 띄울 수 있게, 많은 분이 참여할 수 있게 한번 검토해 주세요.

이재명 위원 예, 이상입니다.

(3)농업정책과소관 예산심사

(10시36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375페이지 한번 봐주시면요, 저수지 주민대피 세부계획 수립 용역을 갖다가 세부사업 세우셨어요. 3,700만 원 사업비를 세우셨는데, 이게 법정용역비에요?

이재명 위원 30만 톤 초평하고 백곡저수지 두 군데가 다 들어간 거예요?

이재명 위원 몇 개나 되는 거예요, 그럼?

이재명 위원 저수지가.

이재명 위원 9개소, 30만 톤 이상 되는 거?

이재명 위원 몇 년에 근거한 게 아니라 법정으로 몇 년마다 한 번씩 하는 거예요, 어떻게 하는 거예요? 본 위원 지금까지 5년 동안 한 번도 못 봤던 사항인데.

이재명 위원 기상 이변이 수시로 변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용역을 잘 세웠다 싶었는데, 법정용역이라니까 시행하는 것도 좋지만. 5년 본위원이, 기간이라는 게 정해진 게 아니고 어떤 그 용역 기간이?

이재명 위원 본 위원이 하면서 5년 만에 처음 보는 용역비거든요.

이재명 위원 하도 요즘 전 세계가 기상 이변으로 인해서 폭우 뭐 이렇게 해서 난리가 났는데 세부계획을 철저하게 세워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한 가지 659페이지 한번 봐주시면요, 한우 생산기반 안정화사업에 대해서 1억 원을 증액 계상해서 합이 2억 원을 사업비 증액 계상하셨는데, 1억 원을 계상한 이유가 어디에 있어요? 659페이지 한우 생산기반 안정화사업비로 해서 1억 원을 더 추가 증액 계상하셨는데.

이재명 위원 진천군에 한우 생산이 지금 현재 한우 사육 두수가 포화상태 아니에요? 전국적으로 볼 때?

이재명 위원 하락하는데 여기서 안정화를 기반하기 위해서 송아지한테 2,000만 원씩 안정화 이렇게 하면서 더 많이 낳으라고 주는 거 아니에요, 이게 지금 현재 현안사업비 아니에요? 포화상태인데 전국적으로 소 값도 떨어지고 그런 상황인데 안정화 기금으로 해서 더 많이 송아지한테 장려기금을 준다?

이재명 위원 문제는 봤을 때 이게 포화 상태 된 상황만큼 사육 두수가 평상시 추석 대비, 명절 때에 비해서 마트에서 3,40% 세일하고 그렇잖아요, 그렇죠? 평상시 국민들이 저가로 해서 많이들 사 먹을 수 있게 그런 국가적이나 전체적으로 시스템을 안정화해 줘야지 뭔가 이렇게 되는 거지 포화상태가 됐다 그래서 장려금 주고, 자기 좋을 때는 군에다 하는 사업이 없잖아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그런 걸 갖다가 좋을 때는 자기들한테 소득에 대해서 전혀 군에 대한 어떤 기부랄까 그런 소득에 대한 그쪽에 주는 건 없고, 어려울 때는 또 안정화기금을 우리가 도와주고. 그러면 일희일비 그런 차원에서 이런 부분을 그런 쪽에서 담당 과장님께서 축산담당하신 분들하고 해서 이런 부분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해결했으면 좋겠다 부탁의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재명 위원 이상입니다.

(6)축산유통과소관 예산심사

(11시29분)

이재명 위원 이재명 위원입니다.

423페이지 한번 봐주시면요, 농수산물 유통체계확립의 단위사업 중에서 신소득 화훼 저온유통차량 지원 사업이 있어요. 저온유통차량 지원 사업비로 해서 5,500만 원 사업비를 계상하셨는데 여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재명 위원 작약작목반?

이재명 위원 화훼분야 쪽이 작약작목이 영농조합법이네요, 그럼. 그쪽 법인이?

이재명 위원 영농조합법인이 13농가가 같이 운영하고 있는 거예요?

이재명 위원 농산물 수급 안정 및 농가 소득 증대 차원에서 좋은 일인데, 지금 현재 영농조합법인 13농가가 사업 시작한 지, 법인 설립한 지가 꽤 되지 않았어요, 운영하신 지가?

이재명 위원 법인 설립을 신규로 했으면 모르는데 영농조합법인이 설립된 지가 꽤 오래된 것 같은데. 지금까지 이분들이 자생력을 키우기 위해서 차량 이런 거를 자체 자비로, 수송용 차량 이런 거는 자기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저온차량을 개인이 먼저 사업의 이런 구비를 하고 나서 하다가 진짜 사업 실적이 저조해서 힘들어서 그럴 때 지원해 주면 모를까, 법인이 제가 볼 때는 설립된 지가 오래된 것 같은데. 5 대 5 매칭해서 1억 1,000만 원이에요. 1억 1,000만 원이면 이 차량이 저가가 아니고 1억 1,000만 원이면 저온차량이라도 몇 톤 차량이에요, 이게? 1억 1,000만 원짜리면?

이재명 위원 농산물 수송용으로 구입비를 5 대 5 매칭이라도 해 줘서 좋은데.

이재명 위원 해외수출 두 번 시키셨어요?

이재명 위원 진천군이 특수작물 쪽에서 화훼농가가 사양 산업으로 옛날에 장미 같은 거 해서 진천군이 특산물로 들어간 부분도 있지만 화훼농가가 사양사업으로 전향하고 있잖아요, 지금 전체적으로. 그렇죠? 그런 부분에서 안정화기금 농축산물 안정화기금 사업에도 화훼농가가 빠진 걸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서 다시 차량을 지원해 줘서 다시 활성화시켜 준다? 13농가 1억 1,000만 원이면 쉽게 얘기해서 개인농가에 800만 원씩만 같이 부담을 하면 충분하게 자비로 구입해서 자기들이 충분하게 운행할 수 있는 법인일 텐데 굳이 군에서 여기 5,500만 원에서 5대 5로 매칭해서 지원해 줄 필요성이 있나.

이재명 위원 영세해요?

이재명 위원 수출실적이 있는 업체는 단 한 군데밖에 없잖아요. 그 영농조합법인 하나밖에 없는 거 아니에요, 그렇죠? 그 영농조합법인에 지원해 준다는 거잖아요, 그쪽에.

이재명 위원 그럼 대상자가 수출 실적만 있는 업체에 해 준다는 거 아니에요, 지금?

이재명 위원 잘 알겠습니다.

영농조합법인에 13농가가 가입했다 그랬잖아요, 그렇죠?

이재명 위원 가입한 업체의 현황 좀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재명 위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