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가. 농업정책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04분)

성한경 의원 성한경 의원입니다.

혁신성장 농업도시 실현을 위해서 고생이 많으신 서정배 소장님, 강상훈 과장님 이하 공무원 여러분들께 노고에 감사를 드리면서요, 몇 가지 질의 좀 드리겠습니다.

11페이지에 보시면 유기질 비료 지원 사업이 있는데 목표액의 215톤 정도, 완료가 됐는데 마이너스가 됐네요. 이유가 있을까요?

성한경 의원 그럼 신청량이 그만큼 다 보급한 건데 보급률이,

성한경 의원 그다음은 13페이지 보시면 영농폐기물 처리비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이게 아시다시피 진천군이 전부 시설 하우스가 많다 보니까 이것 좀 지원이 확대돼야 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이 되고요, 점적호스나 차광막 이런 거는 고물 장사도 안 가져가셔가지고 그다음에 하우스들을 많이 하다 보니까 배관하다가 폐기되는 배관 자재들이 사실 그거는 무게도 있고 부피도 상당합니다. 그런데 이런 거는 비닐만 가져가지 이런 것들이 처치 곤란이라서 이런 것 좀 대책이 있으실까요?

성한경 의원 그런데 이거를 어디다 어떻게 해야 될지를 농가들이 모르고 있어요. 그래서 하우스가 많이 모여 있는 데라든지 아니면 집중적으로 그런 폐기물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좀 적치장을 그래도 해 주시면 농민들이 일하다가 바로바로 그게 발생할 시에 갖다 버리면 모아지면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렇게 되면 그 시스템이 제대로 되면 훨씬 농업인들한테 시간도 절약되고 어디다 버리는지 그게 이제 한번 공지만 되면은 서로 그게 그렇게 해서 폐기물 처리하기가 용이할 것 같거든요.

성한경 의원 그것 좀 꼭 검토해 주시고요. 33페이지에 보시면 경영실습 임대농장 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이게 청년 농업인을 많이 유입시켜 갖고 농업도 이제 젊어지고 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으로 판단이 되어 지는데 사실 진천군 청년 농업인 기준 연령이 몇 살이시지요?

성한경 의원 40세이지요?

성한경 의원 그런데 시골에 40세 미만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청년농업인 나이를 45세 정도는, 그리고 타지자체도 45세로 상향된 지자체가 많이 있습니다, 찾아보시면. 그래서 이거를 본 의원이 생각할 때는 40세 미만은 사실 별로 없어요, 시골에. 특히 이 농사는 기존에 지으면서 연세들이 드시고 해서 다 초고령화되어 있잖아요? 80이 넘어도 농업에 종사하시기 때문에 이거를 한번 검토해서 조정을 할 필요가 꼭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40에서 45세 사이에 걸려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요. 그래서 제대로 지원을 받아서 농업이 활성화되고 소득에도 젊은 층들이 많이 지원을 받다 보면 소득증대에도 기여가 되고 해서 진천군 전체 농업인들한테도 또 좋은 기회가 되고 소문이 나고 하다 보면 인구 유입에도 더 도움이 되고 이런 좋은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한번 검토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성한경 의원 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다. 기술보급과소관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10시44분)

성한경 의원 성한경 의원입니다.

6페이지에 보시면 토양 종합분석실 운영 사업이 있는데 우리 진천군 같은 경우는 하우스도 많고 하다 보니까 이게 직접적으로 눈, 비를 못 맞고 하다 보니까 많이 산성화가 돼 있잖아요. 그리고 인삼밭 같은 경우에도 산성화가 돼 있으면 인삼이 다 썩어요. 그런데 자기 땅을 잘 몰라 가지고 농사를 실패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특히 시설 하우스나 인삼 같은 경우에는 이게 한 번 실패를 하면 억대로 까먹는 게 금방이기 때문에 이런 게 농가에서 내가 내 땅에 대해서 토양을 알고 싶다, 이렇게 할 때는 어떻게 어디 가서 물어봐서 진행을 하면 되는 건지 답변 부탁드리고요.

또 한 가지는 병해충 방제 벼 항공방제에 관해서 한 가지만 간단히 질의드릴게요. 지금 병해충 방제를 2차까지 하는데 제가 알기로는 1차는 물바구미 방제되는 거고 2차가 실질적으로 농약 살포가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한 번으로는 실효성이 많지 않다는 말씀들을 많이 하세요. 그래서 한 번 더 추가 지원이 검토가 가능한지 질의드리겠습니다.

성한경 의원 그런데 제가 듣기로는 올해는 드론으로 방제를 한다고 들었는데 덕산농협의 경우에는 그동안 헬기를 구입해놓고 헬기로 방제를 했잖아요. 그러면 그냥 덕산 지역분들은 기존의 그 방식대로 하는 건가요?

성한경 의원 그래서 올해는 드론으로만 100% 한다고 그렇게 들었거든요. 그리고 지금 드론 교실 운영하셔가지고 자격증을 취득하신 분들이 많잖아요. 자격증 취득자에 비해서 드론 대수가 별로 없다면서요, 지금?

성한경 의원 네, 알겠습니다. 그러면 토양분석은 아무나 아무 때나 와서 자기가 1층에 방문해 가지고 하면은 내 땅에 무슨 무슨 농사가 적합한지를 다 판별이 가능한 건가요?

성한경 의원 네, 잘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