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언자
  • 안 건
  • 위원장 김성우
  • 부군수 박준규
  • 전문위원 홍필표
  • 기획감사실장 이종혁
  • 임정열 위원
  • 이재명 위원
  • 김기복 위원
  • 윤대영 위원
  • 투자전략실장 박근환
  • 홍보미디어실장 노영국
  • 행정지원과장 채정훈
  • 이강선 위원
  • 성한경 위원
  • 민간협력팀장 강전권
  • 발언보기
  • 선택취소
  • 부록
  • 의안
적용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글자 기본으로 프린트 닫기

4) 행정지원과소관 예산심사

성한경 위원 성한경 위원입니다.

여기 86페이지 보시면 민간단체 지원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단에. 그런데 여기 보면 민간단체가 쭉 있습니다, 여러 단체가. 새마을, 자유총, 바르게 쭉 있죠? 그런데 제가 궁금한 거는 여기 보면 조직육성 지원이라고 해서 거의 많은 금액이 새마을 같은 경우는 1억, 억대로 나가고 바르게도 4,000만 원 가까이 나가죠. 자유총은 6,291만 원이면 6,300이 다 되는 돈이고, 적십자 이렇게 단체가 여러 개 있는데 운영비라는 항목도 있고 또 육성지원 이런 항목도 있는데 이렇게 큰틀에서 나갔는데 밑에를 보면 세부사항에도 또 지원을 했단 말이에요? 무슨 기념식이라든지 한마음대회 기타 여러 가지 행사 때도 그 항목에도 또 지원이 중복적으로 됐잖아요. 그러면 결과적으로는 총 따지면 이게 엄청난 금액이잖아요, 민간단체가 전부 따지면? 이거는 지원을 할 때 정해진 이 금액을 그 단체에 전부 줘서 거기에서 자체적으로 그 세부안을 세워서 운영을 하는 건가요, 이 돈을 사용하는 건가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예를 들어서 새마을 같은 이런 조직은 마을마다 새마을남녀 새마을지도자가 있어서 진천군 전체 주민이 다 어떻게 보면 마을마다 두 명씩은 참석이 되는 거잖아요. 그래서 이런 거는 누가 봐도 공감을 할 수 있지만 그 나머지 민간단체들은 사실 특히 고령자 어르신들은 바르게가 뭔지 자유총이 뭔지 알지도 못해요, 솔직히. 그런데 이런 단체들에 이렇게 많은 돈을 주고 있는 줄 알면 아마 저는 놀라실 것 같아요. 그러면 이제 제가 잘 모르기도 하지만 처음 보고서 제가 놀랐는데 민간단체 지원에 관한 이 내용을 한번 자료를 저를 좀 주시고요.

그다음에 91페이지에 보면 주민참여예산사업이라는 게 있는데 항목이 성암천에서 만나는 힐링 체험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거기에 예산이 제일 많이 투입됐더라고요. 맞죠, 1,650만 원?

성한경 위원 이거는 구체적으로 어떤 체험을 하는 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성한경 위원 네, 괜찮습니다. 담당자가 설명해 주세요.

성한경 위원 그럼 나무나 꽃 같은 것을 심으시는 건가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그 행사내용이 뭐를 하시는 거죠? 그 화합의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잖아요. 아까처럼 운동회를 한다든지 아니면 함께 걷는다든지 뭔가 그 세부내용이 있을 것 아니에요.

성한경 위원 그런데 모든 사업이 예산을 요청했을 때는 우리는 이러이러한 것을 하기 위해서 이 사업에 이만큼의 돈이 필요하므로 예산을 지원해 달라 저는 그렇게 할 것 같은데요.

성한경 위원 막연하게 그냥 달라? 이렇게 한다는 거는 논리적으로 이해가 잘 안 가서요.

성한경 위원 네, 알겠습니다. 이상입니다.